[엘시티 특혜 의혹] 檢, 황태현 전 사장 소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포스코 시공사 참여·사장 교체 '윗선' 개입했나

부산 해운대구 엘시티 더샵의 분양사무실 빌딩과 현장 모습. 검찰은 지난달 27일 사업 추진 과정에서 빚어진 비리 의혹과 관련, 이곳을 압수 수색했다. 부산일보DB

해운대 엘시티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포스코건설 전 사장을 소환하면서 엘시티 시공사 선정 과정의 의혹에 바짝 다가섰다. 검찰의 칼끝에서 의혹의 실체와 '윗선'의 개입이 드러날지 여부가 핵심이다.

부산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임관혁)는 지난 20일 포스코건설 황태현(68) 전 사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한 뒤 돌려보냈다. 황 전 사장은 지난해 4월 포스코건설이 엘시티 시공사로 선정되고, 그해 7월 정식 시공 계약을 맺을 당시 결재권을 가진 사장이었다. 포스코건설의 책임준공보증은 단일 사업으로는 부산 최대 규모의 1조 8700억 원 PF 대출 약정을 이끌어내는 결정적인 계기였다.

시공사 선정 과정 집중 조사
사장 임기전 전격 교체 배경에
핵심 실세 외압 확인 촉각
최순실 입김 여부도 밝혀야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4월 중국 건설사가 시공 계약을 해지한 후 책임준공을 약속하며 시공을 이어 맡았다. 포스코건설 측은 그해 2월부터 참여를 검토했고 책임준공은 가장 낮은 단계의 보증이라고 설명했지만, 업계에서는 '윗선'의 결심과 '보이지 않는 힘'을 의심하고 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도 이 과정에 "대통령과 가깝다고 자랑하는 정치인이 개입했다는 제보가 있다"고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검찰이 황 전 사장을 상대로 규명해야 할 의혹은 크게 세 갈래다. 포스코건설의 엘시티 시공사 참여 경위와 이후 엘시티 시행사 회장 이영복(66·구속) 씨가 포스코건설과 대주단을 속이고 PF 대출 자금을 유용한 과정, 그리고 황 전 사장의 교체 배경이다.

황 전 사장은 엘시티 사업 참여에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월 엘시티 착공식에 참여해 "엘시티는 부산의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티로 도약하는 아이콘이 될 것"이라고 말했고, 올해 신년사에서도 엘시티를 지목해 "대형 랜드마크 사업의 수주를 통해 당사의 브랜드 가치를 한층 업그레이드했다"고 의욕을 보였다. 그러나 불과 한 달 뒤인 2월 사장직에서 물러났다. 2014년 3월부터 2년을 채 채우지 못한 임기였다.

황 전 사장이 이영복 씨의 PF 대출 자금 유용에 제동을 걸다 교체됐다는 의혹도 나왔다. 이 씨가 올 1월 인천의 포스코건설 본사에서 황 전 사장을 만나 PF 대출 자금 운영권을 요구하다 거절당했고, 이 때문에 사장이 교체됐다는 내용이 보도됐다. 이 과정에 이 씨가 포스코그룹의 고위 관계자나 청와대 핵심 실세를 통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도 검찰이 확인할 부분이다.

이 씨의 구속영장에는 포스코건설이 이 씨의 전횡을 반대한 구체적인 정황이 드러나있다. 포스코건설이 지난해 7월 이 씨가 회장인 회사이자 엘시티 시행사 주간사인 청안건설이 엘시티 아파트 분양대행 용역 계약을 맺은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고, 이에 이 씨가 하청 업체를 '바지 업체'로 내세워 결국 포스코건설을 속이고 59억 4000만 원을 빼돌린 혐의(특경법상 사기)가 포함된 것이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