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FF 사태' 막후에도 '최순실 사단' 있었다
'비선실세' 최순실(60·구속 기소) 씨와 그 측근들이 부산국제영화제(BIFF) 다이빙벨 상영과 관련한 일련의 사태에 적극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 이뿐만 아니라 올해 처음 열린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도 이른바 문화계 황태자로 불린 차은택 라인이 개입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김종 전 차관에 차은택도
'다이빙벨' 상영 중단 압박
지원금 삭감·감사 '후폭풍'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도
사업자 선정에 개입 정황
최근 정치권과 문화계 등에 따르며 2014년 10월 BIFF가 세월호 참사를 다룬 영화 '다이빙벨'을 초청하자 청와대와 문화체육관광부 등의 이른바 '최순실 사단'이 다이빙벨 상영 중단을 종용한 것으로 알려졌다(20일 busan.com 단독 보도). BIFF의 한 관계자는 "당시 조직위원장인 서병수 부산시장과 함께 기자회견을 통해 다이빙벨을 포함한 300여 편의 상영 계획을 언론에 공개한 이틀 후부터 다이빙벨 상영 취소 압박이 도처에서 들어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당시 문화계 최고 실세로 알려진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이 다이빙벨 상영을 강행할 경우 국고 지원 삭감과 감사 등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김 전 차관의 압력 이후 BIFF의 정부 지원금은 15억 원에서 이듬해 7억 원으로 '반 토막'이 났고, 감사원 특별감사 이후 이용관 당시 집행위원장 등이 검찰에 고발됐다.
또 다른 BIFF 관계자는 "최순실 씨의 최측근이자 '문화계 황태자'로 불렸던 차은택(전 창조경제추진단장) 씨도 청와대 등을 통해 다이빙벨 상영 중단 압력을 가해왔다"고 말했다.
올해 BIFF와 비슷한 기간에 열린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도 차은택 씨가 관여한 것으로 보이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사업을 도맡아온 T사가 선정돼 사업자 선정 과정에 '최순실 사단'이 개입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원아시아페스티벌의 선정 업체 입찰에서는 부산 지역 전시·기획사들의 예상과는 달리 비슷한 행사를 치러온 경험이 많은 C사가 탈락하고 A컨소시엄이 압도적인 점수 차로 선정됐다. 이 컨소시엄에는 청와대 고위 관계자와 차은택 씨의 스승인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의 제자가 대표이사와 본부장으로 있는 T사가 포함돼 있다. T사는 부산은 물론 전국 8개 시·도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을 연출한 바 있으며, 이 출범식에는 모두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했다. 또한 러시아 올림픽파크 내에 평창올림픽 홍보관을 운영하기도 했다. 2013년 50여억 원에 이르던 이 회사 매출이 2014년 각종 국내외 행사 연출 이후 2015년 131억 원까지 치솟았다.
이와 관련, 한 전시기획 전문가는 "T사의 인적 네트워크와 최근 수주한 행사 등을 보면 차은택 씨 등이 연결돼 있다는 의혹이 있다"며 "원아시아페스티벌 업체 선정 과정도 엄정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병수 부산시장은 21일 본보 취재진과의 통화에서 "다이빙벨과 관련해 중앙정부에서 연락 받은 것은 없고, 순수하게 부산시 차원에서 판단한 것이다"고 밝혔다. 또 원아시아페스티벌과 관련, "중앙정부의 압력 등을 받은 것은 전혀 없다. 메인 컨소시엄사를 보고 정한 것일 뿐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보도 이후 T사는 "T사 본부장은 김종덕 전 장관과 개인적으로 모르는 사이이며 본부장이 대학원을 재학한 시기와 김 장관이 대학원장을 맡은 시기가 달라 사제지간이라고 보기 힘들다"고 알려왔다.
조소희 기자·BS투데이 김호일 기자 ss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