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수사] 대기업 인사·납품 계약 대통령 뜻 따라 좌지우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일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검찰의 중간 수사 결과 발표를 통해 재계 총수들이 인사와 납품 계약 등에서 청와대 뜻대로 휘둘린 것으로 드러났다. 청와대의 요구를 무시할 경우에 야기될 불이익을 우려해 어쩔 수 없었다는 입장이지만 그동안 인사와 계약의 투명성을 강조하던 국내 대기업들의 도덕성이 다시 한 번 도마에 올랐다.

이날 검찰 발표에서 현대차그룹은 최순실 씨의 지인 회사인 KD코퍼레이션으로부터 11억 원 상당을 납품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대차그룹은 이 과정에서 제품성능 테스트나 입찰 등 정상적인 절차도 생략한 채 수의계약으로 납품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비선 실세 배불리기에 이용
현대차·KT도 도덕성 질책


재계에선 매출 1000억 원 이상의 협력사만 150여 개에 달하는 현대차그룹의 이 같은 소규모 거래에까지 청와대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데 대해 적잖이 놀라는 분위기다.

KT는 '최순실 게이트' 관련 의혹으로 구속 수감된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과 최 씨가 추천한 2명을 광고 발주를 담당하는 전무와 상무보로 채용하고, 차 씨의 광고회사 플레이그라운드에 68억 원 규모의 광고를 몰아준 것으로 조사됐다.

그동안 KT는 인사 청탁과 일감 몰아주기를 적극 부인해왔지만 이번 검찰 조사 발표로 비난이 일고 있다.

두 대기업 모두 대통령의 요청으로 이 같은 행태들이 이뤄진 것으로 검찰 조사 결과 드러났다.

검찰은 이들 사안 외에 청와대의 요청에 의해 이뤄진 몇몇 대기업의 기금 출연에 대해서도 현재 관련 수사가 진행 중이다. 검찰은 일단 이들 기업을 강요죄의 피해자로 간주하면서도 대가성 여부 등을 밝혀 추가 혐의를 입증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참여연대는 논평을 통해 "재벌들로부터 일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자금을 받은 것에 강요죄만을 적용한 것은 재벌에 대한 봐주기 수사가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재계 한 관계자는 "특검은 물론 국정조사까지 시작되면 기업 총수들이 다시 불려나갈 가능성이 높아 기업들은 내년 초까지 초비상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며 "연말에 행해지는 내년도 경영계획 수립이나 조직 개편을 하는 것은 현재로선 어려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배동진 기자 djbae@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