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최순실' 폭격 맞자 PK 정치권 '朴心' 뿔뿔이
'최순실 사태'를 거치면서 새누리당 부산·울산·경남(PK) 정치권의 분열상이 더욱 심각지고 있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거취를 둘러싸고 PK 정치권이 친박(친박근혜)계와 반박계로 나뉘어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다. 양측 간 갈등이 화해 불능의 상황이라는 지적도 많다.
친박계·반박계 나뉘어 대립
김무성·김세연·하태경 등
비박계 대놓고 반박 활동
양측 갈등 화해 불능 지적도
이번 사태가 터지기 전까지만 해도 PK 정치권에 '비박(非朴)계'는 일부 있었지만 '반박(反朴)계'는 거의 없었다. PK 지역 정서가 박 대통령에게 우호적이어서 드러내 놓고 '반박' 활동을 하기 힘들어서다. 그러나 최순실 파문이 불거져 박 대통령의 지지도가 추락하자 일부 비박계 인사들이 노골적으로 '반박'으로 돌아섰다.
부산의 김무성 김세연 장제원 하태경 의원과 울산의 강길부 의원, 경남의 김재경 여상규 이군현 의원 등이 대표적인 반박 세력이다. 이들은 새누리당 비주류 세력이 주축인 '비상시국회의'에 적극 참여하면서 새누리당 탈당과 '2선 후퇴'를 박 대통령에게 요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박 대통령을 탄핵해야 한다"는 입장에도 뜻을 같이하고 있다.
김정훈 조경태 이진복 김도읍 배덕광(부산) 이주영 김성찬 윤한홍 김한표(경남) 의원 등 9명은 '중도 성향'으로 분류된다. 중도파 일부가 비주류 모임에 간헐적으로 참여하지만 대부분 중립을 지키고 있다. 이들 중 김정훈 의원은 '정국 수습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면서 "현재와 같이 당내 세력끼리 충돌하고 배척하면 사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당이 똘똘 뭉쳐 국민들께 사과할 건 사과하고, 매를 맞을 건 맞자"고 말했다.
중도 성향의 한 의원은 "이번 사태가 장기화되면 성난 민심이 결국 정치권으로 향할 것"이라며 "이럴 때는 자중하면서 지역 현안에 매진하는 게 좋다"고 했다.
새누리당 PK 정치권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친박계 의원들의 '결속력'이다. 부산의 유기준 유재중 이헌승 윤상직 의원과 울산의 정갑윤 박맹우 이채익, 경남의 박대출 윤영석 박완수 강석진 엄용수 의원 등 12명의 PK 친박계 인사 중 현재까지 이탈한 사람은 한 명도 없다. 오히려 일부는 '박근혜 대통령 엄호'에 적극 앞장서기도 한다.
이처럼 PK 정치권이 최순실 사태로 분화하면서 지역에서는 당면 현안이나 주요 사업에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해 차질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권기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