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수사 정치권 반응] 野 대권주자 8인 '국회 추천 총리' 등 정국 해법 큰 틀 합의
야권 대선 주자들이 20일 열린 '비상시국 정치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추진과 국회 추천 새 국무총리 선출에 대해 대략적인 합의에 도달했다.
야3당은 '박 대통령 퇴진'이라는 공동 목표의 실현 방법을 놓고 이견을 보여왔다. 이런 상황에서 당의 대주주인 대권주자들이 일단 해법의 물꼬를 터준 셈이다.
국회서 비상시국 정치회의
'탄핵' 원칙 속 미묘한 입장차
심상정·이재명·천정배
"즉각적인 탄핵 절차 추진"주장
문재인·안철수·김부겸
'질서 있고 신중한 수습'에 무게
향후 세부 논의 이견 가능성
이날 대선주자들은 탄핵 추진에 한목소리를 냈지만, '톤'의 차이는 보였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 천정배 국민의당 전 대표 등은 즉각적인 탄핵 추진을 강조했다. 심 대표는 박 대통령이 오는 26일까지 자진사퇴를 안 한다면 곧바로 탄핵 절차에 돌입할 것을 주장했다. 세 사람은 나머지 주자들에 비해 '선명성'을 강조하는 편이다.
반면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검찰 수사 발표로 법적으로 탄핵 사유가 충분하다고 언급하면서도 박 대통령의 '명예로운 퇴진', 즉 자진 사퇴와 질서 있는 수습에 무게를 뒀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질서 있는 퇴진과 여야 합의총리 선임, 탄핵의 병행 추진론을 강조했다.
한 대선주자 측 인사는 "이 시장이 즉각적인 탄핵 추진을 강하게 주장했지만 문 전 대표는 끝까지 신중한 모습이었고, 김부겸 의원은 보수층을 너무 자극하면 안 된다는 기조였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를 볼 때 야권이 탄핵 논의를 시작하더라도 그 시기를 두고 이견이 노출될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인다.
또 야권 대선주자들은 이날 국회 주도의 총리 선출 및 과도내각 구성을 수습 방안으로 제시했다. 국정 수행 의지를 꺾지 않는 박 대통령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 수단이 국회 주도의 총리 선출이라는 점에서다. 향후 탄핵 추진을 염두에 두더라도 황교안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는 시나리오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새 총리는 필요한 상황이다. 그렇지만 이 역시 각 당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걸려 있어 논의가 순조롭게 흘러갈지는 미지수다. 당초 박 대통령의 총리 추천 요구를 거부했다가 돌고 돌아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간 데 대해 "상황을 오판해 실기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이 밖에 대선주자들은 이날 △한·일 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GSOMIA) 및 역사교과서 국정화 등 국정 중단 △야 3당 및 시민사회 단체와의 적극적 연대 등에도 합의했다.
안철수 전 대표의 제안으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도시락 모임'으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를 포함해 야권 대선주자 8명이 참석했다.
야 3당은 이번 주 대표 회동을 통해 이날 합의 내용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