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법은 대통령 퇴진뿐" 野3당 로드맵 꺼내 드나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3당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위한 공조를 본격화한다.
박 대통령의 하야 및 2선 후퇴 거부에 따른 사태 장기화가 예상되면서 영수회담 번복 등으로 흐트러진 협력 관계를 서둘러 복원하려는 모습이다.
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17일 구체적 방안 논의
대통령 檢 조사 연기 요청엔
"시간 끌기" 한목소리 비판
활발한 공조 움직임 속
사안별 주도권 다툼도 여전
16일 야권에 따르면 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17일 국회 본회의가 끝난 뒤 사랑재에서 만나 박 대통령 퇴진을 위한 구체적 방안 마련에 착수한다.
야3당은 최근 '최순실 게이트'의 해법으로 박 대통령의 퇴진을 공히 당론으로 채택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야3당의 당론이 일치하는 만큼 대표들이 만나 구체적인 퇴진 로드맵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또 이날 추 대표를 본부장으로 하는 '박 대통령 퇴진 국민주권운동본부'를 발족했다. 17개 지역 시·도당 및 여성·청년·노인 등 분과위원회에도 국민주권운동본부를 설치, 중앙의 국민주권운동본부와 연계를 통해 박 대통령 퇴진운동을 전국 규모로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야권은 전날 박 대통령 측의 검찰 조사 연기 요청에 대해 "수사 무력화를 위한 시간 끌기"라며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대통령 변호인의 말은 대통령이 검찰 수사를 받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이런 식으로 나온다면 박근혜 대통령의 퇴임 후 안전도 보장할 수 없다고 경고한다"고 날을 세웠다.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도 "한마디로 최순실, 안종범 등 기소를 앞두고 본인에 대한 조사를 최대한 늦춰 공소장에 범죄사실이 기록되는 것을 막아보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야권의 공조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물밑으로는 각 당의 주도권 다툼도 여전하다.
![]() |
같은 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박지원 비대위원장이 비상시국 기구 설치 방안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히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