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보 사업에 '포스코·부산은행 날개' 단 배경은…
엘시티 사업을 둘러싼 각종 비리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엘시티 시행사가 2014~2015년 부산은행의 대출을 받고 포스코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한 배경에 주목하고 있다.
16일 부산지검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엘시티 시행사인 엘시티PFV는 지난해 4월 9일 전 시공사였던 중국 건설사 중국건축공정총공사(CSCEC)와 계약을 해지하고 같은달 17일 포스코건설을 책임준공을 전제로 새로운 시공사(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이어 엘시티PFV는 지난해 9월 부산은행 등 16개 금융기관 대주단과 1조7800억 원 PF 대출 약정을 체결했다. 포스코건설의 책임준공 약정과 분양대금이 담보가 됐다.
포스코건설 시공사 선정에
檢, 윗선 개입 가능성 주목
책임준공 전제 뛰어든 과정
군인공제회 대출이자 면제
대주단 대출도 특혜 의혹
포스코건설이 열흘도 안 돼 책임준공을 약속하며 1조 원이 넘는 대형 사업의 시공사로 뛰어든 것을 두고 업계 안팎에서는 '윗선'의 결심이나 '보이지 않는 힘'의 작용 가능성이 꾸준하게 제기됐다. 시공사 선정으로 부산에서 진행된 단일 사업 중 최대 규모의 PF 대출 약정이 가능, 사업이 날개를 달았다.
이에 앞서 엘시티PFV가 2014년 10월 부산은행으로부터 3800억 원을 대출해 군인공제회 대여금을 상환한 과정에도 의혹이 집중된다. 엘시티 측은 2008년 5월 부지 매입비 등 사업 초기 자금으로 군인공제회로부터 3200억 원을 대출했다. 엘시티 측은 이자조차 내지 못했지만, 군인공제회는 2011년 12월 대여금을 3450억 원으로 늘려줬다.
이어 엘시티PFV는 2014년 10월 부산은행으로부터 3800억 원을 대출받아 군인공제회에 원금에 100억 원을 더한 3550억 원을 상환했다. 군인공제회는 이자 2300억 원은 면제해줬다. 시공사 선정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이뤄진 부산은행의 이 대출은 시공사 선정과 엘시티 PF 대출 성사에 결정적인 디딤돌이 됐다는 게 당시 업계의 평가였다. 군인공제회는 손실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원금이라도 회수한 것이라는 입장이었지만, 군인공제회와 부산은행의 대출 과정에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여권 정치인과 비선실세 최순실 씨 개입설이 불거지는 대목도 포스코건설 시공사 선정을 전후한 시점이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16일 이 과정에 대통령과 가장 가깝다고 자랑하고 다니는 정치인이 개입됐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2월부터 엘시티 시공 참여를 준비해 3월 공사비 제안서를 제출했고, 책임준공 보증은 가장 낮은 수준의 보증이자 필수"라고 설명했다. 부산은행 측은 당시 대출에 대해 "부산 미래관광산업을 견인할 성장 동력이라는 판단으로 부산 대표 금융기관으로서 사명감을 갖고 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최혜규 기자 iw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