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혀 오는 수사망에 이영복(엘시티 시행사 회장) "로비 없었다" "최순실 모른다"
엘시티 사업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엘시티 시행사 회장 이영복(66·구속) 씨의 수백억 원대 비자금 용처를 상당 부분 확인하고 자금 흐름 추적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부산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임관혁)는 구속 이후 사흘째인 15일 이 씨를 불러 횡령·사기를 통한 570억 원 비자금 조성 혐의와 이를 통한 정·관계 로비 의혹을 캐물었다. 더불어 엘시티 시행사를 비롯해 이 씨 소유 법인 10여 곳과 주변 인물들의 방대한 금융 거래 내역을 들여다보며 비자금 용처를 좁혀 나가고 있다.
검찰, 비자금 조성 혐의 추궁
횡령·자금 세탁 윤곽 파악
정·관계 로비 의혹도 캐물어
이 회장, 혐의 적극 부인
검찰은 2006년부터 올해 초까지 이 씨가 가로채거나 빼돌렸다는 혐의를 받는 570억 원 가운데 이 씨가 사실상 소유하는 특수관계회사 10여 곳의 운영자금으로 전용된 돈과 이 씨가 개인 용도로 소비한 것으로 보이는 자금을 나누어 자금의 이동 내역을 추적하고 있다. 사용처가 불분명한 것으로 보이는 개인 소비 자금 중 일부가 정·관계 로비 자금으로 흘러갔을 것으로 검찰은 의심하고 있다.
특히 검찰은 이 씨가 차명계좌와 가족, 지인의 계좌를 이용해 비자금을 '세탁'했을 개연성을 염두에 두고 돈세탁 경로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이 씨가 엘시티 시공사 포스코건설, 16개 금융기관 대주단을 속이고 분양대행 허위 용역 계약 등을 통해 PF 대출금 중 90억 원을 가로챘고, 이 가운데 6억 원이 지난해 12월 이 씨 가족 명의 엘시티 아파트 4채의 계약금으로 흘러간 정황을 이미 확인하고 이 씨의 구속영장에 포함했다.
구속 영장에는 2006년부터 최근까지 이 씨가 차명계좌를 통해 엘시티 시행사 회삿돈 50억 원을 빼돌리고, 2007년부터 올해까지 가족과 지인, 지인 아들 등 18명을 엘시티 시행사나 이 씨가 사실상 운영하는 특수관계회사의 허위 직원으로 올려 급여 명목으로 75억 원을 빼돌린 혐의도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이 씨 측은 회사 운영자금이나 이씨의 장기대여금 명목으로 흘러간 자금에 대해서는 범죄 혐의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해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관계 로비 의혹에 대해서도 "부산 관광 개발과 부산의 랜드마크를 위해 법 테두리 안에서 열심히 일했을 뿐이고, 로비는 일절 없었다"고 적극 부인하고 있다고 검찰은 전했다.
검찰이 앞선 수사에서 엘시티 비리와 관련해 이미 구속한 인물들의 재판 과정에서 이 씨와 관련된 새로운 진술이 나올지도 주목된다. 이 씨와 같은 내용의 특경법상 횡령·사기 혐의로 기소된 엘시티 시행사 자금담당 임원 박 모(53) 씨의 세 번째 공판이 16일 부산 동부지원에서 열린다.
한편 이 씨는 검찰 조사에서 현 정권 '비선 실세' 최순실 씨에 대해 "만난 적도 통화한 적도 없고, 최근 언론 보도를 보고 알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두 사람이 친목계를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할 예정이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