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린 秋의 선택 "시민사회와 공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여야 영수회담 철회로 정치적 타격을 입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시민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야권공조에 균열을 일으켰다는 외부의 지적과 "한 번 더 실수하면 레드카드를 받을 것"이라는 내부의 비판을 잠재우기 위해 '외연확대'를 선택한 셈이다.

민주당에서는 영수회담 철회가 추 대표는 물론 당 전체에 정치적인 타격을 줬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박근혜 대통령 퇴진 방식과 관련, 당이 요구조건을 계속 바꿔 '오락가락 행보'라는 비판을 받는 상황에서 추 대표의 독단적 행동이 여론 악화를 부채질했다는 분석이다. 이종걸 의원은 15일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추 대표가 개인적인 비밀회담을 통해서 (영수회담 제의를) 하게 된 것은 야권과 민주당에 큰 상처를 주는 것"이라며 "이 엄중한 시기에 한 번 더 실책을 범한다면 국민들에게 레드카드를 받고 퇴장당하는 길이 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추 대표가 며칠간 (영수회담을) 추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추미애의 최순실이 있다"고 말했다. 추 대표에게 영향력을 행사한 일종의 비선실세가 있다는 주장이다.

이처럼 당 안팎의 비판이 계속되자 추 대표는 국민의당과 정의당은 물론 시민사회로 '최순실 게이트' 연합전선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추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오늘부터라도 야 3당과 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으기 위한 비상시국기구 구성을 위해 구체적 노력에 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영수회담에 대해선 "국민과 당원 여러분께 혼란을 드렸다면 죄송하다"며 "두 야당에도 깊은 이해를 구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에서는 '해프닝'으로 넘어가자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또 대통령 퇴진으로 당론을 정하면서 다른 야당과 단일대오를 형성, 야권공조에서 오히려 '전화위복'이 됐다는 말도 나온다. 그러나 지난 8월 말 전두환 전 대통령 예방 추진으로 당내에서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킨 전력이 있는 추 대표가 또다시 독단적인 행보로 지도력의 한계를 드러내면서 대선후보 경선 등 향후 정치일정과 관련한 당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종우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