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 대통령-추 대표 회담 백지화, 난국 돌파구 찾아야
박근혜 대통령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갖기로 했던 단독 양자회담이 개최 확정 몇 시간 만에 백지화됐다. '최순실 국정 농단' 파문과 관련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국민의 목소리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때에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가 처음으로 마주 앉는다는 점에서 정국 수습에 대한 일말의 기대를 갖게 했으나, 이 마저도 야당 내부 반발에 부딪혀 무산된 것이다.
지금 국민이 요구하는 것은 '박 대통령 퇴진'임은 지난 주말 100만 명이 모인 촛불집회에서 확실히 드러난 바 있다. 박 대통령이 국민의 신뢰를 잃은 현재의 상황에서 임기를 정상적으로 마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제1야당인 민주당이 대통령 퇴진을 공식 당론으로 확정했고, 여당 내에서조차 대통령 탄핵과 하야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의 국면은 어중간한 정치적 타협으로 해결될 수 있는 단계가 지났고, 설령 그 같은 타협책이 나와도 국민이 용납할지도 의문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대통령이 당장 사퇴하거나 탄핵 절차에 들어갈 경우 상당한 혼란과 국정 공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정치권에서 국무총리의 대통령 권한대행이나 대통령 임기 단축 등 '질서 있는 퇴진론'이 거론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지만, 이 같은 방안들 역시 여러 헌법적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국정의 공백과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국민의 요구를 담아 낼 수 있는 국면 수습책을 찾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다.
더 이상 지금과 같은 국정의 마비 상태가 아무런 대책 없이 지속되어서는 안 된다. 난국을 수습할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그를 위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박 대통령의 조속한 결단이다. 더 이상 권력에 미련을 가지지 말고 모든 것을 내려놓아야 한다. 그래야 그 다음 단계의 수습책이 마련될 수 있다. 박 대통령이 국정 운영의 끈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에서 물러나지 않고 버티기를 계속할 경우 최악의 사태가 빚어질 수도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박 대통령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무엇이 최선인가를 생각해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