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원 이메일]베이징 '박근혜 퇴진' 시위 없는 이유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임지연 프리랜서 저널리스트

지난 1989년 중국은 '톈안먼 사건'을 계기로 한 차례 큰 변혁을 겪었다. 5000년 역사의 중국이 그간 겪어 온 변혁은 가늠할 수 없을 만큼 많았지만, 톈안먼 사건은 민주주의와 자유 시장화 정책에 대한 민중의 감정이 가장 크게 표출된 사건이었다. 이때 베이징 대학생들을 주축으로 한 시위 군중들이 내세운 목표이자 혁명 문구는 '니하오 민선생(民先生)'이었다. 민주주의에 대한 강한 열망을 드러내며 민주주의가 도래할 것이라는 믿음을 실은 문구였다. 그러나 시위는 계엄군에 의해 강제로 종료됐고, 수십 년이 지난 현재까지 중국 국민들의 가슴에는 민주주의에 대한 강한 열망이 여전히 '꿈'으로만 남아 있다.

오히려 당시 계엄군 세력은 사건을 계기로 이후 국민들의 집회 결사의 자유를 크게 탄압했다. 특히 톈안먼 사건이 발생한 수도 베이징에서의 규제와 탄압은 그 어느 곳보다 강력하게 집행되고 있다.

실제로 중국 베이징에서 집회를 하기 위해서는 현지 집회법상 반드시 관할 지역 공안국에 신고 후 이에 대한 허가 절차를 밟아야 하는데, 외국인의 경우 정치적 의사 표현을 위한 베이징에서의 어떠한 집회나 시위도 금지돼 있다. 집회 활동이라면 옥내, 옥외 모두 가리지 않고 무조건 불허한다. 나도 베이징에 수년 동안 거주하며 실제로 단 한 차례의 대규모 집회 현장을 목격한 경험도 없다.

이는 '최순실 사태'를 계기로 해외 각국 곳곳에 거주하는 지식인들의 시국선언과 집회가 잇따르고 있지만 베이징에서만 잠잠하게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로 최근 베이징 거주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번 사태와 관련해 정의로운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움직임이 크게 일었지만, 이 같은 중국 정부의 강력한 법적 규제 탓에 어떠한 목소리도 내지 못하게 됐다.

정부 집계로만 약 10만 명의 한국인이 거주하는 베이징에서 최근 의식 있는 상당수 대학생과 일반인들이 모여 시국선언을 위한 장문을 글을 준비하고 장소까지 물색했지만, 관할 공안국의 '불허' 통보에 따라 모든 계획은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중국 베이징 교민들은 지난 12일 중국 최대 SNS 웨이신(위챗)의 단체채팅을 통한 온라인 시위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했다.

베이징=cci2006@naver.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