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이재만·안봉근 압수수색… 차은택 영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최순실·안종범 장애인 펜싱팀 개입 의혹'과 관련해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본부 검사와 수사관들이 9일 오후 서울 삼성동 그랜드코리아레저(GKL)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후 관련 물품을 가지고 건물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최순실(60·구속)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의 발걸음이 연일 빨라지고 있다. 오는 19일께 최 씨를 기소하기로 한 만큼 혐의 입증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검찰은 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조사 시점과 방식 결정을 결정해야 하는 입장이라 의혹 규명에 더욱 총력전을 벌이는 모습이다.

검찰, 대통령 조사 앞두고
물증·진술 확보 총력

차 씨 '광고사 강탈' 의혹
포스코 전무 불러 조사
최 씨 개입 GKL 압수수색

■청와대 정조준, 진술·물증 확보 사활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는 9일 오전 이재만(50) 전 총무비서관, 안봉근(50) 전 국정홍보비서관의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이로써 지난 6일 공무상비밀누설 혐의로 구속된 정호성(47) 전 부속비서관과 함께 20년 가까이 박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소위 '문고리 3인방' 모두가 검찰 수사선상에 올랐다. 박 대통령에 대한 조사를 앞두고 진술과 물증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이 전 비서관은 최 씨에게 청와대 국정보고 자료, 연설문 등이 사전 유출되는 것을 도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안 전 비서관은 최 씨가 청와대 관저를 자유롭게 드나들도록 자신의 차량을 제공하는 편의를 봐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날 다른 청와대 전·현직 실무급 인사 2명의 자택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미르·K스포츠재단에 기금을 출연한 기업 관계자들도 줄줄이 소환해 경위를 캐묻고 있다. 한진그룹과 현대차, SK, LG, CJ 등의 임원이 잇따라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박 대통령과 안종범(57·구속)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기금 모금 과정에서 해당 기업들에 압력이나 요청을 했는지 집중 추궁하고 있다. SK와 한화, CJ 등은 당시 그룹 총수에 대한 광복절 사면을 기대하는 상황이라 대가성이 있었는지도 확인 중이다.

검찰은 이날 이미경 CJ 그룹 부회장에 대한 청와대의 퇴진 압박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앞서 2013년 말 조원동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이 손경식 CJ 회장에게 전화를 걸어 'VIP(대통령)의 뜻'이라며 이 부회장 퇴진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긴 녹음 파일이 언론에 공개됐다.

■문화계 비리 초점…차은택 오늘 영장

검찰은 최 씨 최측근이자 '문화계 황태자'로 불린 차은택(47) 전 창조경제추진단장을 9일 새벽 구치소로 보낸 지 4시간 만에 다시 불러 강도 높게 조사했다. 차 씨를 둘러싼 문화계 비리를 규명하는 작업이다. 검찰은 10일 차 씨의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차 씨는 자신이 운영하던 광고회사에서 수억 원대 자금을 횡령하고 포스코 계열 광고회사 '포레카' 지분 강탈에 가담한 혐의(공동강요) 등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CJ E&M이 사업권을 따낸 'K컬처밸리'와 관련한 비리도 살펴보고 있다. 경기도에 조성된 한류 테마파크 'K컬처밸리'는 차 씨가 주도한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 중 하나다. CJ는 이 사업에 참여하며 부지 헐값 제공, 늑장 계약 체결 등 각종 특혜를 제공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이날 외국인 카지노를 운영하는 공기업 그랜드코리아레저(GKL)의 서울 삼성동 사무실도 압수수색했다. 최순실 씨가 안 전 수석을 통해 GKL이 장애인 펜싱 선수단을 창단하도록 압력을 넣고 자신의 회사를 선수단 관리 대행사로 지정해 이권을 챙겼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검찰은 이밖에 이날 K스포츠재단 설립을 위해 희생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체육인재육성재단 송 모 전 이사장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