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체육계 장악·이권 개입 의혹
"전국에 220개 체육시설 건립, 운영 수익 노려"
현 정권 '비선 실세' 최순실(60·구속) 씨 일가가 대통령의 위세를 앞세워 한국 체육계를 장악하고 각종 이권을 챙기려 한 정황이 검찰 수사 결과 속속 드러나고 있다. 특히 최 씨 측의 체육계 전횡은 재단 강제 모금과 국정 농단, 딸 정유라(20) 씨의 특혜 논란을 관통하는 의혹의 핵심인데도 검찰이 핵심 인물 소환을 미루고 있어 늑장 수사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지금까지 드러난 의혹들을 종합하면 최 씨는 미르·K스포츠재단을 통해 각각 국내 문화계와 체육계를 장악하고 문화는 광고감독 출신 차은택(47), 스포츠는 최 씨의 조카 장시호(38) 씨에게 맡겨 각종 이권을 독식하려 했다는 그림이 나온다.
대기업서 돈 걷어 설립
崔 개인회사가 운영권 맡아
'평창' 이권 챙기기 정황도
특히 최 씨가 K스포츠재단을 앞세워 대기업들로부터 거액을 받아내 전국 5곳에 체육인재 육성 거점 시설을 만들려 했다는 증언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K스포츠재단이 올 2월 안 전 수석과 함께 부영그룹 이중근 회장 등을 만나 경기 하남시에 해당 시설을 건립하는 비용으로 70억~80억 원을, 이어 3월에는 롯데그룹을 만나 같은 하남의 부지 매입 비용으로 70억 원을 요청했다는 정황이다.
K스포츠재단 핵심 인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최 씨가 전국에 이와 같은 거점 시설을 5곳으로 시작해 2020년까지 220개 지으려 했고, 자신의 개인회사 더블루케이가 이 시설의 운영권을 맡아 수익금을 챙기려 했다고 밝혔다. 더블루케이는 이와 같은 내용으로 K스포츠재단으로부터 총 7억 원의 용역을 제안했는데, 이 계획이 문화체육관광부가 내년도 20억 원 예산을 배정한 스포츠도시 사업과 판박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최 씨가 문체부를 움직여 평창동계올림픽과 관련된 이권을 챙기려 한 정황도 나왔다. 문체부가 2014년 갑자기 평창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설계 변경을 지시하고, 최 씨의 개인회사인 더블루케이와 업무 제휴를 맺은 스위스 업체 누슬리 사의 연구 용역 자료를 검토하게 했는데, 이 배후에 최 씨가 있었다는 의혹이다.
체육계는 이런 시도가 2013년 9월 김종 전 문체부 차관의 취임에서 시작됐다고 지적한다. 김 전 차관이 취임 후 '스포츠 4대 악' 척결을 내세워 정유라 씨를 인천아시안게임 국가대표로 전격 발탁하는 등 '체육계 대통령'으로 군림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체육계 시민단체와 체육인 592명은 7일 시국선언을 발표하고, 장시호 씨와 정유라 씨,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 김종 전 차관 등의 사법처리와 평창동계올림픽 관련 공사에 대한 수사 착수를 촉구했다.
최혜규 기자 iwill@
그래픽=류지혜 기자 bir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