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하야" 고삐 죄는 野
지난 주말 촛불집회에서 '성난 민심'을 확인한 야당이 대통령 하야와 탄핵 등을 언급하며 압박을 강화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이미 국민에게 불신임을 받았다"며 "국정을 정상화시키는 건 오로지 대통령의 조속한 결단에만 달려있다"고 말했다. 추 대표는 "개각철회 등의 요구를 끝까지 외면하면 정권퇴진 운동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추미애 "개각철회 외면 땐 퇴진운동"
국민의당, 퇴진 이어 탄핵소추 제안도
특검 도입 협상서도 야당 강경 입장
민주당 이언주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에서 "총리 지명 철회가 받아들여지지 않고 대통령이 맞서는 모습을 보이면 국민과 함께 하야 운동을 하면서 결국 국회가 탄핵소추안 발의에 착수할 수밖에 없다"며 탄핵론까지 거론했다. 민주당은 시민단체 주도로 오는 12일 열리는 '민중 총궐기 대회'에 맞춰, '전국당원보고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국민의당도 압박 수위를 높였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박 대통령이 부족한 사과를 실천으로 메우지 않으면 민심 쓰나미가 청와대를 덮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 위원장은 "국민은 야당이 왜 대통령 하야를 외치지 않고 장외투쟁을 하지 않느냐고 강하게 비판한다"면서 "대통령이 해법을 내지 않으면 야당도 민심을 따르는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천정배 전 대표도 대통령 퇴진을 거듭 요구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대통령이 물러나는 것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이 상황을 빨리 수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말했다. 천 전 대표도 "여야 정당과 국회의원들에게 당장 탄핵소추를 위한 논의를 시작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야당은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별도 특별검사' 도입 협상에서도 강경론을 펴고 있다. 새누리당에서는 "정치적 중립성과 객관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야당에서는 수사범위를 최대한 넓게 잡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율사 출신인 박범계 의원의 주도로 특검법 초안을 만들고 있는 민주당은 최순실 씨 등 피의자들에게 뇌물죄·제3자 뇌물공여죄·공무상 비밀누설죄·외교상 기밀누설죄·군사기밀 수집탐지죄·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죄 등 혐의 전부를 입증해내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