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대선 주자들의 '최순실' 대응법] 문재인 "2선 퇴진" 신중론… 안철수 "즉각 하야" 강경론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6일 오후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을 향해 국정에서 손을 떼라고 요구하고 있다.박희만 기자 phman@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좀처럼 식지 않으면서, 야권 대선 주자들의 셈법이 나날이 복잡해지고 있다. 정권 비리 게이트가 야권 전체의 정치적 호재이지만, 대선 주자들에겐 또 다른 변수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특히 야당 대선 주자들은 '선명성'과 '외연 확장' 중 선택을 해야 할 처지에 직면했다. 정권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 지지 기반을 견고하게 다질지, 차분한 대응으로 중도층을 껴안을지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다.

안철수·박원순·이재명
정권 비판해 지지층 결집 노리고

문재인·안희정·김부겸·손학규
차분한 대응 중도층 껴안기 나서

■유력 주자 2인의 뚜렷한 대응 차이


유력 대선 주자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탄핵 대신 '2선 퇴진'을 주장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헌정 중단 사태만은 막아야 한다"는 신중론을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하야나 탄핵으로 조기에 대선이 치러지면, 가장 유리한 주자가 문 전 대표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조기 대선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데다, 강경한 발언이 자칫 표 확장의 한계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 신중한 모습으로 '관리형 리더'의 모습을 보이겠다는 게 문 전 대표 측의 의도로 알려져 있다.

반면 또 다른 유력 대선 주자인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의 즉각 하야를 요구하고 있다. 온·오프라인 상의 박 대통령 퇴진 촉구 서명운동을 제안하기도 했다. 2012년 대선 당시에 비해 지지율이 많이 떨어진 만큼 강경한 메시지로 주목을 받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야권 주자 중 비교적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온 만큼, 이를 만회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잠룡'들의 입장도 각양각색

잠룡들도 선명한 입장 차이가 난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성남시장은 탄핵·하야 등의 강경한 메시지를 연일 던지고 있다. 박 시장의 경우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는 문 전 대표와의 차별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또 최순실 게이트 이전부터 선명성을 부각했던 이 시장은 최근 지지율이 급상승하고 있어, 이 기조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안희정 충남지사와 민주당 김부겸 의원은 신중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다. 안 지사는 탄핵·하야 대신 2선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충남지사를 맡으면서 안정적인 행정가로서 주목을 받았던 만큼, 지금까지의 자세를 고수하는 것으로 읽힌다.

김 의원은 대구가 지역구인 만큼, 박 대통령 문제에 신중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김 의원 측은 "김 의원의 정치철학은 정치는 깨부수고 운동하는 게 아니라 최종적으로 국정에 책임을 진다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민주당을 탈당한 손학규 민주당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의 거취 문제보다 안정적인 정국 관리를 강조하고 있다. 최순실 게이트로 자신의 정계 복귀가 퇴색했지만 이 사태를 활용해 '개헌'과 '새판 짜기' 등 정치적 지형을 바꿔 대권의 기회를 얻으려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