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 불똥 어디까지…카이스트, 최순실 연루 '아이카이스트' 지분정리
KAIST(한국과학기술원, 이하 카이스트)가 최순실 사태와의 연루 가능성이 제기된 1호 출자회사인 아이카이스트에 대한 보유 지분 매각 등 결별 수순에 돌입했다.
4일 카이스트에 따르면 이 학교는 지난달 말 아이카이스트로부터 3개년 세무조정계산서 등 재무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서류를 넘겨받았다.
이를 근거로 KAIST가 보유 중인 아이카이스트의 49% 지분에 대한 가치평가에 착수했으며, 평가 금액이 산정되면 아이카이스트 측에 최종 매입 의사를 물은 뒤 장외 시장에 내놓겠다는 계획이다.
지분이 정리되면 아이카이스트에 학교 이름을 사명으로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민사소송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카이스트는 아이카이스트가 재학생이 창업한 기업인 데다 창조경제 대표주자로 불려온 만큼 강경 대응에 부담을 느꼈지만, 최근 비선 실세와의 연계 의혹까지 불거지자 확실하게 '선 긋기'에 나선 모양새다.
아이카이스트는 2011년 4월 설립된 카이스트 연구소기업으로, 교육콘텐츠 및 IT 디바이스를 개발해왔다.
양방향 스마트 교육 소프트웨어인 '스쿨박스'와 대면적 IT 디바이스인 '터치플레이' 등을 잇따라 히트시키면서 창조경제의 아이콘으로 떠올랐고, 2013년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카이스트를 방문해 아이카이스트를 창조경제 대표 모델로 지목하며 격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올해 초부터 투자자들이 아이카이스트 김성진 대표가 사기 행각을 벌이고 있다는 내용의 고발장을 잇따라 검찰에 내면서 탄탄하던 행보가 삐걱거리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아이카이스트의 부사장인 정민회 씨가 최순실의 전 남편인 정윤회 씨의 동생으로 알려지면서 때 아닌 비선실세와의 연루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카이스트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아이카이스트는 학교와 관련이 없는 기업인데, 학교 이미지가 훼손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지분 매각 절차에 들어가게 됐다"고 입장을 밝혔다.
박홍규 기자 4067park@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