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불똥' 튈라… 몸 사리는 PK 정치권
요즘 여야 부산·울산·경남(PK) 정치권이 뒤숭숭하다.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는 '최순실 파문'의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몰라서다.
사실 여야 PK 정치권은 이번 파문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 최 씨 본인이나 그녀의 주변 인물들, 청와대 관련자들 대부분 PK와 무관한 사람들이다.
직접적 영향권 친박 "최대 위기"
민주, 이른 레임덕 文 타격 우려
동시에 여야 PK 정치권 입장에서 최순실 파문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니기도 하다. 우선 새누리당 PK 정치권의 주류인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에겐 '본인의 일'이 될 수도 있다.
최 씨 사건으로 연일 추락하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도는 친박계 정치인들의 거취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PK 친박계 의원은 '박근혜 우산'에서 다소 수월하게 정치를 해 온 게 사실이다.
친박계의 모 의원은 30일 이와 관련, "PK 친박계가 최대 위기"라고 전했다.
그렇다고 PK 친박계 중 '박근혜 엄호'에 적극 나서는 사람은 별로 없다. 비교적 친박 색채가 옅었던 김도읍·윤상직 의원 정도만 "진실을 정확하게 가려야 한다"고 나설 뿐이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이번에 친박계 인사들의 실체가 고스란히 드러났다"고 비난했다.
PK 야권도 입장이 복잡하다. 특히 PK 야권의 주력인 친노(친노무현)세력들은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새누리당 지지도가 하락하고 더불어민주당이 상승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박 대통령의 레임덕(임기 말 권력누수)이 너무 빨리 찾아오면 문재인 전 대표도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여야 정치권에서는 강성 친박과 친문(친문재인)을 제외한 중도 성향의 인사들이 별도의 세력을 구성해 차기 대선을 준비하자는 '제3지대론'이 탄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문 전 대표의 북한 관련 행적에 의문을 제기한 '송민순 회고록' 파문이 언제 재연될지도 모를 상황이다. 다만 정의당과 진보성향 무소속 의원들은 '장외집회'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권기택 기자 kt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