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순실 수사' 한 점 의혹 없게 밝혀라
최순실 씨가 어제 오전 급거 귀국함에 따라 민간인 국정농단의 진실에 대한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최 씨가 지난주 현지 인터뷰에서 밝혔던 귀국 불가 태도를 불과 며칠 만에 바꾼 건 그만큼 악화한 국내 여론을 심각하게 인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장기간 해외에서 머무르면서 사태가 진정되길 마냥 기다릴 수 없을 정도로 상황이 나빠졌다는 계산을 했을 것으로도 보인다.
이제 공은 검찰에게 넘어갔다. 지난주 '최순실 의혹 특별수사본부 '를 설치한 검찰은 수사 조직 확대가 단지 면피용이 아니라 진실을 밝히기 위한 각오의 결과임을 국민에게 보여 줘야 한다. 검찰은 조직의 운명을 걸고 최 씨 수사에 임한다는 각오를 다져야 한다는 뜻이다. 이래야만 우병우 민정수석의 입김에서 벗어나지 못해 그동안 미르·K 스포츠재단 등과 관련된 의혹에 대해 미온적인 수사를 해 왔다는 비난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날 수 있다.
검찰은 우선 최 씨 귀국과 관련해 제기되고 있는 각종 의혹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 야권은 물론 여권 인사까지 최 씨의 귀국이 의혹 대응을 위한 '큰 그림'의 일환일지 모른다며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벌써 최 씨 입국 때 검찰 수사관이 동행했고, 귀국 및 검찰 출석을 조율하는 세력이 있다는 여러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게 사실이라면 검찰의 수사는 탄력을 잃게 되고, 국민의 불신을 더 살 수밖에 없다. 검찰은 이런 의혹들에 대해 명확한 해명을 조속히 내놔야 하고, 증거 인멸을 위해 최 씨에게 시간을 준다는 오해를 사지 말아야 한다.
국회의 특검 도입은 정당 간 이견으로 표류 상태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검찰마저 최 씨 수사를 소홀히 한다면 진실은 더욱 미궁으로 빠질 수밖에 없다. 이리되면 막상 특검이 시작돼도 제대로 된 수사가 이뤄지기 어렵다. 지금 국민의 분노가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검찰이 적극적인 자세로 진실 규명에 나서지 않고 좌고우면한다면, 이는 섶을 지고 불 속에 뛰어드는 격이다. 현재 국가는 총체적 난국 상태다. 이럴 때 국회는 입법 활동과 예산안 심사에 전력을 다해도 부족할 지경이다. 국민도 제자리에서 제 역할을 해야 하기는 마찬가지다. 검찰수사가 제대로 진행돼야 이와 같은 국가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