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인적 쇄신 규모 4~5명 선?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최순실 정국'의 돌파 카드를 고심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와 내각의 인적 쇄신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박 대통령은 청와대와 내각 개편에 부정적이었으나 여야 정치권의 전면 쇄신 요구가 비등하고 본인의 지지도가 추락하면서 입장을 선회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특히 박 대통령은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당의 제안에 대해서 심사숙고하고 있다"고 밝혀 사실상 수용 의사를 내비쳤다.

박 대통령, 선별교체 전망
이원종 등 측근 포함 가능성
거국 중립 내각엔 부정적


다만 청와대 수석비서관 이상 참모들과 정부 각료를 전부 바꾼다면 심각한 국정 공백이 발생, 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선별 교체 카드를 선택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따라서 '최순실 사태'에 직간접으로 책임이 있거나 정국 운용에 부담이 되는 측근 참모 4∼5명이 교체 대상으로 꼽힌다.

청와대 김재원 정무수석은 27일 국회 예산결산위에 출석해 "대통령께서 나름대로 충분히 판단해 곧바로 조치를 하지 않을까 저희들은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이번 사태의 총괄책임을 지고 청와대 이원종 비서실장이 물러날 가능성이 있다.'문고리 3인방'으로 지목된 정호성 부속비서관과 이재만 총무비서관, 안봉근(당시 제2부속비서관) 국정홍보비서관의 거취도 주목된다. 야권의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우병우 민정수석과 안종범 정책조정수석의 교체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청와대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등 야권에서 요구하는 거국 중립 내각 제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이다.

한 참모는 "황 총리는 이번 사태의 책임에서 다소 비켜 있는 입장 아니냐"면서도 "대통령께서 깜짝 카드를 쓸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청와대 참모진들은 박 대통령이 사태 수습의 의지를 표명한 만큼 박 대통령의 결단을 기다리자는 쪽으로 의견을 모아가고 있다.

박 대통령이 들끓는 여론을 진정시키기 위해 예상되는 교체 범위보다 큰 폭의 쇄신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권기택 기자 ktk@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