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보고체계 또다시 '뭇매'] 장관·주요 인사, 대통령 대면도 못 하고 서면보고만…
'최순실 게이트'로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이 부각되면서 청와대 보고체계가 또다시 여론의 도마에 오르고 있다.
장관들이나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박 대통령에 대해 직접 대면보고를 못 하고 서면보고로 대체하면서, 보고서를 전달하는 '문고리 3인방' 등 측근이나 청와대 외부의 비선 인사들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면보고 일정 '문고리 3인방' 조정
세월호 때도 7시간 늦어 논란
박영선 "주요 현안 병목현상 심각"
하태경 "이정현 대표도 책임" 비난
대면보고 논란은 세월호 참사 당시에도 문제가 됐다. 세월호 사고를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과정에서 서면보고와 유선보고가 먼저 있었지만 대면보고는 사고 7시간 이후에나 이뤄졌다는 지적이 나오면서였다. 이후에도 장관들이나 고위 관료들이 대통령에 대한 대면보고를 신청했다가 서면보고로 대체됐다는 이야기가 청와대 안팎에서 나오면서 보고체계 문제는 계속해서 논란이 돼 왔다.
특히 대면보고 일정 등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정호성, 안봉근, 이재만 비서관 등 누구보다 박 대통령을 오래 보좌해 온 이른바 문고리 3인방의 역할이 크게 부각됐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여권 일각에서는 헬스 트레이너 출신으로 청와대에 발탁된 윤전추 행정관의 역할에 대해서도 의혹이 제기됐다. 대통령을 실제로 가까이 대할 수 있는 소수의 인사 가운데 윤 행정관이 포함돼 있어 그가 일부 보고서에 대한 반응 등을 전달한다는 의혹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윤 행정관의 역할이 커지면서 청와대 내부에서도 불만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 |
'박통이 피해자?' 등이 적힌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