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거제 시내버스 노선 분리·연장 결국 무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용객 접근이 어려운 '외줄 노선' 탓에 애물단지 취급을 받는 부산~경남 거제 시내버스 노선 분리 및 연장안(본보 지난 11일 자 14면 보도 등)이 결국 무산됐다. 도내 시외버스 업계의 반발을 우려해 1년 넘게 결정을 미루던 경남도가 끝내 거제시의 요청을 거부한 것이다. 거제지역 시민단체들은 노골적인 시외버스 업계 편들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도는 25일 시가 제출한 거제~부산 시내직행 좌석버스의 노선 분리 요청안을 반려했다고 밝혔다. 도는 회신에서 노선 분리에 따른 기존 이용자들의 불편 해소방안이 미흡하고, 시외버스 업계와의 협의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여객운송사업법에서 정한 노선 조정 시 필요 요건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시는 단선인 현행 노선을 2개로 나눠 1개 노선을 지역 최대 도심인 고현까지 연장하고, 나머지 노선은 대우조선해양 배후지인 장승포로 연결하는 방안을 제안했었다.

거제시 "2개 분리" 요청에
도, 1년 8개월 만에 반려
업계 협의 불충분 등 이유

시민단체, 수용 촉구 나서
"시외버스 업계 편들기" 지적


도 관계자는 "증차 없이 노선을 분리하면 배차 간격이 늘어나 이용자 불편이 커진다. 시에 2차례 공식 보완을 요청했지만, 제대로 된 계획을 내놓지 못했다"라며 "게다가 노선 조정 때 경쟁이 불가피한 시외버스 업계와의 사전 협의도 없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거제지역 시민단체들은 이번 반려 조치가 '사실상 부동의 회신'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해 2월 도에 노선 조정을 요청했다. 그런데 도는 해당 노선의 취소 소송을 제기한 시외버스 업계의 눈치를 보다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시외버스 측의 소송을 최종 기각했지만, 또 다른 조건을 내걸었다. 올해 2월 노선 분리의 필요성을 입증한 근거가 부족하다며 시에 이용실태와 수요조사 자료를 보완하도록 요구하며 또다시 시간을 끌었다. 그러다 결국 1년 8개월여 만에 협의 요청을 반려하고 말았다.

거제공공버스네트워크와 거제시주민자치연합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의 교통편의라는 공익은 무시하고 시외버스 업자의 수입 감소만 걱정하는 도에 분노한다"라며 반발했다. 이들은 시가 애초 제안한 노선 분리와 연장안을 도가 허가할 때까지 대시민 서명운동과 도청 항의 방문 등 적극적인 실력 행사를 하겠다고 공언했다.

시의회도 오는 28일 개원하는 임시회에서 결의문을 채택하는 등 주요 의제로 다루기로 했다. 이형철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도의 노골적인 시외버스 업계 편들기를 규탄하고, 합리적인 노선 조정안 마련을 촉구할 계획이다.

시는 시내버스 업계, 부산시 등과 협의를 거쳐 대응 방향을 정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재신청 기회가 남은 만큼 도에서 요구한 사항들을 보완해 재신청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