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복합리조트 유치전] 하. 부산에 기회 될까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관광 부산' 대변신 기폭제… '공론화 기구' 서둘러야

부산에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 수준의 복합리조트를 세울 경우 12조 원 규모의 경제 효과가 기대된다. 하지만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8일 부산관광컨벤션포럼과 한국관광학회 주최로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동북아 관광거점도시 부산시의 발전 방향' 포럼 장면. 부산일보DB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MBS)의 사례처럼, 제대로 된 복합리조트는 부산의 관광·마이스와 경제를 일으키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그러나 복합리조트라는 '뜨거운 감자'를 손에 든 부산의 분위기는 마치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아야 하는 쥐 신세가 된 듯하다. 상당수 오피니언리더와 경제계, 관광·마이스 전문가들은 복합리조트가 부산에 엄청난 기회라고 입을 모으지만, 오픈 카지노라는 '장벽'에 막혀 이 문제를 터놓고 얘기하기조차 힘들어 하는 표정이다. 부산시 차원에서 복합리조트에 대한 공론화 기구를 구성해 관련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서울·제주 낀 어정쩡한 위치
부산 방문 비율 계속 떨어져

MBS급 복합리조트 세우면
12조 원대 경제 효과 기대
마이스 중심도시에 큰 도움

'오픈 카지노' 문제가 발목
과잉경쟁 속 차별화도 과제

■복합리조트, 부산에 왜 필요한가


복합리조트로 인한 가장 가시적인 효과는 역시 경제적 이익이다.

부산시는 지난해 초 MBS 규모의 복합리조트가 들어설 경우 지역 생산유발 효과는 7조 6000억 원, 소득유발 효과는 1조 1000억 원, 부가가치유발 효과는 3조 5000억 원에 이르며, 고용유발 효과는 5만 300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또 세수도 특별세, 소득세, 부가가치세 등 총 3893억 원이 걷힐 것으로 예상했다.

무엇보다 지역 경제계와 관광·마이스 전문가들은 복합리조트가 부산의 미래 비전인 '관광·마이스 중심도시'로 나아가는 데 큰 발판이 될 것이라는 데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이와 관련, 조성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등 경제계 원로들도 최근 부산이 승부를 걸어야 할 분야로 관광·마이스를 지목하면서 "특화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부산 관광은 올해 크루즈 관광객이 늘면서 표면적인 실적은 좋지만, 면세점 쇼핑이 주요 목적인 일회성 방문이 대다수여서 허울뿐인 성장이라는 지적이다. 관광 도시로서 경쟁력을 가지려면 체류형 관광과 재방문이 높아야 하지만, 문화체육관광부의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 여행 시 부산 방문 비율은 2011년 14.1%에서 지난해 10.3%로 떨어지는 추세다.

이와 관련, A 관광 전문가는 "서울은 쇼핑·역사가 장점이고 제주는 자연 환경이 탁월하지만, 부산은 이도저도 아닌 어정쩡한 위치"라며 "지난해 해외관광객들의 한국 재방문율은 46.1%인데, 부산은 서울, 제주보다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북항에 세계적인 복합리조트가 들어서면 부산의 도시 인지도를 크게 높이는 동시에 마이스 복합지구로 조성될 해운대 센텀시티, 2025년쯤 완공되는 김해신공항과 함께 '삼각 축'이 완성되면서 부산의 관광·마이스 인프라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벡스코 관계자는 "싱가포르도 MBS 오픈 이후 시너지 효과로 기존 마이스 시설이 동반 성장했다"며 "무엇보다 부산이 관광·마이스 도시로서 글로벌한 위상을 갖게 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부산은 싱가포르와 다르다?

물론 복합리조트가 발생시킬 부작용도 철저히 짚어봐야 한다. 가장 큰 우려는 도박중독자 양산과 도시의 퇴폐화다. 복합리조트를 반대하는 측은 부산은 도시 특성상 싱가포르와 같은 강력한 도박 방지 억제책을 현실화하기 어렵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박재율 지방분권부산시민연대 대표도 최근 한 토론회에서 "강력한 규제 제도를 보편적으로 가진 싱가포르와 우리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며 "부산은 싱가포르와 같은 철저한 사회적 안전장치를 마련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아시아 각국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빠르게 늘고 있는 복합리조트 산업의 '포화' 우려도 제기된다. 동의대 호텔컨벤션경영학과 윤태환 교수는 "아시아 주요국들이 복합리조트 개발에 혈안이 되면서 포화 우려가 서서히 나오는 건 사실"이라며 "이는 카지노가 주력인 무늬만 복합리조트가 아니라 진짜 차별화된 복합리조트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내 관광산업의 중국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복합리조트가 과연 부산에서 얼마나 지속 가능할지, 국부 유출에 대한 대비책 등도 면밀히 검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오피니언 리더들 나서야 할 때"

이처럼 복합리조트와 관련해 논의할 사안은 층층이 쌓여 있지만, 부산의 움직임은 한가롭다. "제주도는 중화권 자본의 복합리조트 개발이 한창이고, 인천도 카지노 리조트의 집적화를 통해 경쟁력을 갖춰나가고 있는데 정작 가장 복합리조트가 필요해 보이는 부산이 첫걸음을 떼지도 않은 것은 아이러니한 일"(경희대 호텔경영학과 서원석 교수)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특히 지역 국회의원 등 오피니언 리더 그룹에서도 무관심해 보인다. 국민의당 김관영(전북 군산) 의원이 "'카지노 국회의원'이라는 꼬리표로 다음 총선에서 낙선할 수도 있지만, 지역의 청년실업과 새만금 개발이 너무 절박하다"며 이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낸 것과는 크게 대비되는 모습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시는 화두만 던져놨지 액션플랜이 전혀 없고, 지역 의원들은 대선 국면이 코앞인데 복잡한 문제로 시끄럽게 만들 일 있느냐는 게 현재의 분위기"라며 "지역의 이슈로 공감대를 넓혀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