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순실 의혹' 진상 규명 한목소리, 철저 수사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비선 실세'로 지목 받고 있는 최순실(최서원으로 개명) 씨를 둘러싼 각종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미르·K스포츠재단의 설립과 거액 출연금 모금 과정의 의혹에서 처음 시작돼 이제는 최 씨가 설립한 회사를 통해 K스포츠재단을 사유화하고 돈을 빼내 쓰려 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이와는 별도로 승마 선수인 최 씨 딸의 이화여대 입학과 학점 취득 과정에서의 특혜 의혹도 불거져 이화여대 총장이 사퇴하는 사태까지 빚어졌다.

이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이 20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누구라도 재단과 관련해 자금 유용 등 불법행위를 저질렀다면 엄정히 처벌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청와대 측은 최 씨 관련 의혹에 대해 '일방적 의혹 제기일 뿐'이라고 일축해 왔으나 의혹이 제기된 지 한 달 만에 처음으로 박 대통령이 직접 입장을 밝힌 것이다.

박 대통령이 이처럼 검찰 수사를 통해 의혹의 진상을 규명하고 불법행위가 드러난다면 처벌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은 늦었지만 올바른 방향이다. 최 씨 관련 의혹을 둘러싸고 야당에서는 '최순실 게이트'로까지 명명하며 연일 공세를 펼치고 있다. 이제는 여당에서도 방어막만 치지 않고 수사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근거 없는 의혹'으로만 치부해 이 문제의 진상을 규명하지 않고 넘어가기는 이미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 대통령 지지율이 급락해 취임 후 최저치까지 떨어질 정도로 국민의 불신이 높아진 상황에서 임기 말 대통령의 정상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서라도 의혹은 털고 가지 않을 수 없다.

미르·K스포츠재단의 설립과 모금 과정의 의혹에 대해서는 시민단체가 이미 검찰에 고발을 해 둔 상태지만 검찰은 아직 구체적인 수사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살아 있는 권력'을 대상으로 하는 수사를 검찰이 제대로 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대통령이 '엄정한 처벌'을 공언한 이상 진상 규명은 검찰의 몫이다.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이 실제 권력형 비리이거나 대통령과의 친분을 내세운 개인 비리인지, 아니면 그야말로 의혹에 불과한 것인지를 분명히 밝혀 내야 한다. 만약 검찰의 수사가 의혹 당사자에 면죄부만 주거나 꼬리 자르기에 그친다면 국민을 납득시킬 수 없음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