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주민 18% 독성물질 노출
부산·울산·경남 주민의 100명 중 18명은 발암 물질을 포함한 고독성 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 주변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대형사고가 발생하면 직접적인 피해를 볼 수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이 10일 공개한 '발암물질 전국지도, 전국 배출 및 이동량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고독성 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반경 1.6㎞ 이내에 거주하는 부울경 주민은 모두 143만 466명으로 전체 인구의 18%였다.
국회 '발암물질 지도' 공개
벤젠 등 고독성물질 사업장
1.6㎞ 내 143만 명 거주 중
지역별로 위험 사업장 인근 1.6㎞ 내 인구는 부산시 61만 6926명(17.4%), 울산시 16만 9648명(14.9%), 경남도 64만 3892명(19.5%)이었다.
기초자치단체의 경우에는 부산 사상구 주민이 70.3%(17만 8826명)로 가장 노출 정도가 높았다. 사상구는 인천 동구 등에 이어 전국 3번째로 노출 정도가 높은 기초자치단체였다. 이어서 부산 사하구 60.7%(21만 5914명), 경남 창원시 성산구 54.0%(13만 3725명), 양산시 41.4%(11만 243명), 김해시 37.3%(18만 8969명) 순이었다.
강 의원은 기존 대형사고의 직접적인 피해 사례 등을 참고해 위험 반경 1.6㎞를 정했다고 설명했다.2012년 구미 불산 누출사고 당시 반경 2㎞까지 은행잎이 말랐고, 2013년 삼성전자 불산 누출 때도 반경 2㎞ 내 식물에서 불산이 검출됐다. 강 의원은 "부울경은 발암물질 및 고독성 물질은 벤젠과 황산 배출이 두드러졌다"며 "두 물질은 모두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소에서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백상 기자 k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