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해양르네상스와 부산항 경쟁력 제고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강병균 해양문화연구소 소장

오는 8월 8일은 해양수산부가 출범한 지 20주년이 되는 날이다. 문민정부 시절인 1996년 5월 31일 당시 김영삼 대통령은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열린 제1회 '바다의 날' 행사에서 중대 발표를 한다. 기념사에서 해양대국 건설을 위해 건설교통부 산하 해운항만청과 농림수산부의 수산청을 통합한 해수부 설립계획을 밝힌 것이다. 이어 단 2개월여 만에 신설된 해수부는 그동안 우리나라를 조선 세계 1위, 해운 세계 5위의 해양강국으로 이끌었다.

해수부에 위기와 고난도 많았다. 국민의 정부는 해수부를 폐지 1순위 부처로 거론하기도 했다. 4대강 사업에 올인한 이명박 정권은 2008년 3월 해수부를 건교부에 통폐합해 국토해양부로 재편했다. 박근혜 정부가 2013년 3월 해수부를 부활시켰지만, 조선과 해양플랜트 업무는 여전히 산업통상자원부에 맡겨 두고 있다. 해수부 산하 해양경찰청의 경우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여파로 같은 해 11월 신설된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흡수·통합되고 말았다.

8월 8일 통합 해수부 출범 20주년
해양산업 육성 해양르네상스 추진

부산항 경쟁력 강화방안 절실
BPA 인사권 재정 독립 보장해야


이러한 부침 속에 지난해 11월 김영석 해수부 차관이 제19대 장관으로 승진·취임해 해양수산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김 장관은 지난 1월 말 올해 업무계획을 발표하며 해양경제를 활성화해 '해양르네상스'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한 올해 중점 추진업무로 국가 해양력 증대와 해양문화 확산, 바다와 연안에서 경제활력과 일자리 창출, 바다와 연안을 힐링과 웰빙 공간으로 재창조,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현장형 안전관리 혁신, 수산업의 미래산업화 및 어가소득 증대 등 다섯 가지를 제시했다.

그는 평소 언론 인터뷰와 기고를 통해 해양신산업을 육성해 해양르네상스 원년을 열겠다고 강조해 왔다. 유망 신산업으로 선박평형수 처리산업, e-내비게이션, 미생물을 이용해 물을 교환하지 않고도 새우 등 양식생물을 길러 내는 바이오플록 양식,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등을 꼽았다. 해수부도 최근 전국 16개 광역지자체와 해양르네상스 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해상낚시타운 조성과 해양레포츠 체험기회 확대를 통한 친해양문화 확산, 수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박람회 참여 민간업체 지원과 지자체의 역할 강화, 어린 물고기 보호 및 양식기술 전수, 선용품산업 선진화를 통한 항만지역경제 활성화 등이 그것이다.

부디 세부적으로 차질 없이 잘 추진해 해양르네상스에 걸맞은 성과를 내길 바란다. 해양산업 육성이 성장세 둔화로 활력을 잃은 한국경제의 돌파구는 물론 신성장 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해수부는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인 조선·해운과 항만물류 등 전통 해양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여기에 다른 정부부처와 정책금융기관, 금융권의 협조를 구하는 노력도 요구된다. 이로써 해양르네상스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하겠다.

해양르네상스 계획에 부산항 경쟁력 강화가 중요 과제로 포함된다면 금상첨화일 게다. 부산항 일대에는 정부의 구제방안이 절실한, 기술력과 경쟁력을 가진 조선·해운 관련기업들이 몰려 있다. 부산항은 올해 해수부의 5대 중점 추진사업, 해양신산업, 지자체 협력사업 등 해양르네상스에 필요한 해양수산업과 해양과학기술, 해양금융, 해양관광 등의 인프라와 환경을 잘 갖추고 있다. 부산항이 해양르네상스 실현의 최적지인 셈이다.

부산항 개항 140주년, 부산신항 개장 10주년인 올해 정부는 부산항을 관리·운영하는 부산항만공사(BPA)에 실질적인 힘을 실어 주는 게 마땅하다. 법과 제도를 개선해 창립 12년을 넘긴 BPA에 자율적 인사권과 재정의 독립성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항만지역 관리와 항만기능을 통괄하는 권한도 줘야 한다. BPA가 정부의 전국항만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부산항의 특성과 장점을 살려 탄력적으로 운용할 때 국가대표 항만 부산항의 미래는 밝다. 세계적인 고부가가치 창출 항만으로 도약할 수 있다. kb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