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쓰레기 천지, 그물이 안 남아납니다"
25일 오전 10시께 사상구 삼락생태공원 인근 낙동강. 구포어촌계 어민들이 그물을 당기자 진흙이 엉킨 채 함께 올라왔다. 진흙은 수초와 오니(汚泥·오염된 흙)가 뭉쳐 덩어리져 있었고, 썩은 내를 풍겼다.
진흙과 함께 각종 쓰레기도 걸려 올라왔다. 비닐, 과자 봉지 같은 가벼운 것부터 화분이나 1m가 넘는 나무까지 다양했다. 그물은 가득 차 있었지만, 정작 물고기라고는 썩어 문드러진 잉어 한 마리가 전부였다.
나무·비닐·수초 엉긴 흙…
보 방류 때 하류 떠내려와
구포어촌계 등 어민들
"보 설치 유속 느려진 탓
그물 손상 갈수록 심각
두 달 동안 100여 개 훼손"
가로 100m, 세로 8m 그물은 원래 두 사람이 여유 있게 들어 올릴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날은 오니와 각종 쓰레기 때문에 힘겹기만 했다. 큰 덩어리가 걸린 탓인지 그물이 더 이상 올라오지 않자 어민들은 어선에 그물을 묶은 뒤 어선의 동력으로 그물을 끌어올렸다. 하지만 그것도 역부족이었다.
결국 그물을 칼로 잘라 냈다. 절반 정도 끌어올린 그물도 선착장에 둘 경우 썩은 내를 감당할 수 없어 어촌계에서 폐기처분 전 모아두는 장소에 뒀다. 허탕 친 어민들은 "처음 사용한 그물인데, 오늘 낙동강 청소 잘했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25일 구포어촌계에 따르면 오니와 쓰레기가 걸려 폐기된 그물이 3~4월 동안 70개가 넘는다. 인근 김해어촌계 등까지 포함하면 100개는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어촌계 전체 그물의 30% 수준이다. 낙동강 어민들이 사용하는 그물은 크기에 따라 가격이 10만~15만 원 선이며 보통 3년을 쓴다.
어민들은 보가 완성되고 유속이 약해진 낙동강에 오니가 많이 쌓여 이 같은 일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6월 환경부는 4대강 사업 후 낙동강의 유속이 5배가량 느려졌다고 유속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 |
사진은 이날 그물에 걸린 썩은 잉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