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 2020 당선인 18명 긴급 여론조사] "현안 1순위 신공항 문제 해결에 여야 적극 협조"
부산의 20대 국회의원 당선인 18명은 반드시 동남권 신공항을 유치하겠다는 강력한 의사를 피력했다. 새누리당 당선인들은 신공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야 간 협조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더불어민주당 당선인들은 신공항이 부산의 1순위 현안이라고 입을 모았다.
문제는 의지만으로는 신공항을 가져올 수 없다는 점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입지 타당성 조사를 잘 넘겨 정부의 입지평가 발표에서 좋은 결과가 도출되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與 '24시간 이착륙', 野 '경제성'
입지평가 기준에는 의견 엇갈려
가덕 무산 때 대응방법도 교차
"정치적 접근 땐 해법 꼬일 수도"
BIFF사태·신고리 원전 건설도
여야 당선인 사이에 의견 차이
이런 면에서 신공항 입지평가 기준에 대한 여야 당선인들의 의견은 다소 엇갈렸다. 여당 당선인들의 경우 △24시간 이착륙 가능성(8명) △접근성(1명) △경제성(1명)이 중요하다고 답변했고, 더민주 당선인들은 △경제성(3명) △접근성(1명)을 거론했다.
여당 당선인들이 '24시간 이착륙 가능성'에 대해 더 많이 답변한 것은 가덕도가 밀양에 비해 야간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더민주 당선인들이 경제성에 무게를 둔 것은 밀양 보다 가덕도 신공항이 건설비용이 적게 든다는 점을 감안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윤상직, 더민주 김해영 당선인은 '접근성'이 우선 고려사항이라고 답변했는데 추가 취재에서 두 사람 모두 "영남지역 주민들의 접근성이 아니라 물류 효율성 면에서 가덕도가 더 낫기 때문에 그렇게 답변했다"고 해명했다.
신공항의 부산 가덕도 입지가 무산될 경우 부산의 대응을 묻는 질문에는 새누리당 당선인들은 △민간자본 유치로 신공항 건설(4명) △입지재평가 요구(3명) △김해공항 확장(3명) △기타(2명) 등으로 답변했다.
반면 더민주 당선인들의 답변은 △입지재평가 요구(3명) △민간자본 유치로 신공항 건설(1명) △김해공항 확장(1명)이었다. 아직 신공항 입지평가에 대한 정부의 최종결과가 발표되지 않았는데 여야 당선인들의 입장이 다소 엇갈리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은 "여야 구분 없이 협력하면서 신공항 문제를 풀어가야 하는 것이 당연한다"면서도 "여당이나 야당이 표를 의식해 정치적인 접근을 하면 자칫 스텝이 꼬일 수 도 있다. 서로 머리를 맞대고 최상의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공항외의 지역 현안에 대해서는 여야 당선인간 의견이 엇갈려 향후 문제해결 과정에 갈등이 노출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부산국제영화제(BIFF) 갈등의 핵심원인에 대해 더민주 당선인 5명 모두는 '부산시의 지나친 간섭'이 핵심원인이라고 보고 있었다. 이에 따라 더민주 당선인들은 BIFF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영화제 운영의 독립성 강화'가 가장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반면 새누리당 당선인들은 △영화제 운영방식 개선(7명) △영화제 운영의 독립성 강화(3명) △정부의 예산지원 강화(1명) △부산시민의 참여확대(1명) 등 다양한 BIFF 활성화 방안을 거론했다.
내년 착공하는 신고리 원전 5,6호기에 대해서도 더민주 당선인들은 5명 모두가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여당은 3명(김무성, 김세연, 윤상직)의 당선인이 찬성입장을 밝혔고, 3명(김정훈, 조경태, 하태경)은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나머지 6명은 조건부 찬성 또는 반대 의견을 달았다.
박석호·강희경·김백상 기자 psh2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