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선택 4·13] "黨을 가리면 인물이 보입니다"
부산·울산·경남(PK)지역 4·13 총선 후보자가 모두 확정됐다. 24일 후보자 등록 시작과 함께 그들의 면면이 공개된다. 이제 공은 부울경 유권자들에게 넘어왔다. 부울경 유권자들은 이번 공천 과정에서 각 당의 '민낯'을 똑똑히 목격했다. 여야 중앙 정치권의 'PK민심 홀대'가 어느 정도인지도 실감할 수 있었다.
새누리당은 상향식 공천제를 핑계로 '정치개혁'을 외면했다. '최악의 국회'로 평가받은 19대 국회 부산지역 의원을 단 1명도 바꾸지 않았다. 동의대 전용주 교수는 "정당이 입법활동 등이 저조한 사람을 가려내는 역할을 해줘야 하는데 당선 가능성 위주로만 (후보를) 뽑았다"고 지적했다. 수도권과 호남 선거에만 몰두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도 '인물 발굴'을 소홀히 했다.
24일부터 총선 후보자 등록
정치권에 성난 민심 알려야
비례대표 공천은 더욱 심각하다. 여야 3당 모두 부산에서 활동하거나 지역에서 추천한 인물들을 철저히 외면했다. 3당의 당선권에 PK 출신은 단 1명도 포함되지 않았다.
새누리당은 "PK를 배려하지 않아도 결국 우리 당 후보를 찍을 것"이라는 '안이한' 사고방식에 젖어 있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아무리 잘 해도 야당을 외면할 것"이라는 '패배의식'에 빠져 있다. '동기'는 다르지만 '결과'는 여야 모두 똑같다. 역대 PK 총선 사상 가장 '잘못된 공천'을 단행한 배경이다.
그러나 각 정당의 PK 공천이 잘못됐다는 것이 투표 포기의 이유가 될 수는 없다. 정당이 아닌 인물이나 공약을 판단의 제1순위로 놓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부경대 차재권 교수는 "공약이나 인물 됨됨이를 꼼꼼히 살펴보고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한다"며 "자격 미달 후보에게는 준엄한 심판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미 'PK발(發) 투표혁명'의 가능성도 엿보이고 있다. 부산일보가 진행하고 있는 격전지 릴레이 여론조사(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장제원(부산 사상·무소속) 노회찬(경남 창원성산·정의당) 민홍철(김해갑·더민주) 김경수(김해을·더민주) 후보 등은 당 지지도보다 높은 개인 지지도를 기록했다.
한편 4·13 총선 후보자 등록이 24~25일 양일간 시작된다. 오는 31일부터는 공식 선거운동이 개시된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