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휴전 합의했지만 평화 '요원'
5년에 걸쳐 피비린내 나는 내전을 겪은 시리아 사태가 전환점을 맞았다. 미국과 러시아가 시리아 휴전에 합의했다. 시리아 최대 반군 그룹도 조건부 수용 의사를 밝혀 휴전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휴전 합의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고 휴전이 발효되더라도 정부군과 반군이 충돌할 수 있어 실제로 평화는 불투명하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는 22일(현지 시각)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화 통화한 뒤 시리아에서 '적대 행위'를 중지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휴전은 오는 27일부터 시작된다. 이번 합의는 휴전 조건을 수용하고 이를 지킬 뜻을 밝힌 시리아 내전 당사자들에 적용된다.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 격인 알누스라전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테러조직으로 지정한 단체는 제외된다.
27일 발효… 적대행위 중지
반군도 조건부 수용 의사
테러조직은 대상에서 제외
구체적 내용 없어 회의론도
휴전이 발효되면 최근 알레포 일대에서 반군을 공격한 러시아와 시리아 정부군은 공격을 중단해야 한다. 휴전 개시일 이후 '핫라인 연락 채널'을 구축하고 필요하다면 휴전을 독려하고 합의 위반을 감시할 실무그룹을 구성한다는 내용도 합의에 담겼다. 미국과 러시아는 휴전에 참여하는 각 세력의 실제 영토를 반영해 지도에 경계선을 긋는 작업도 하기로 했다.
미국과 러시아의 휴전 합의 발표 후 시리아 반정부군 대표단인 '고위협상위원회'(HNC)는 성명을 통해 이번 합의를 '조건부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휴전 수용 조건은 △(정부군의) 포위 해제 △민간인에 대한 폭격 중단 △인도주의적 구호물자 배송 △죄수 석방 등이다. 시리아 정부도 4월 13일 총선을 치르겠다는 선거 일정을 발표해 국정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휴전에 대한 회의론도 제기되고 있다. 먼저 휴전 합의에 구체성이 떨어진다. 합의 내용에는 휴전 지역과 대테러 작전지역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휴전 위반에 대한 정의와 휴전 협정을 어겼을 때 처벌도 불분명하다. 이에 따라 정부군과 반군이 휴전 발효 이후에도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 러시아가 테러조직 소탕을 빌미로 시리아 반군을 공격할 수도 있다. 시리아 북부 쿠르드 민병대가 이번 휴전 합의에 따를 지도 불분명하다.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은 "앞으로 더 어려운 도전이 있음을 알고 있다"며 "내전 주요 당사자들이 휴전 조건을 지키겠다는 약속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종균 기자 kjg11@busan.com·일부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