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구 선거구 20년 만에 분리
부산 중동구 선거구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15대(1996년) 총선 때 단일 선거구로 출범한 후 정확히 20년 만이다.
대신 중구는 영도구와 붙어 중영도(가칭)로 바뀌고, 동구는 서구와 합쳐져 동서(가칭) 선거구로 개편된다. 부산 원도심 정치권의 일대 변화를 예고하는 대목이다.
여야, 26일 획정안 처리 합의
부산 중영도·동서로 나눠
김무성-유기준 충돌은 피해
정의화 국회의장과 김무성(새누리당) 김종인(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3일 회동을 갖고 26일 본회의에서 선거구 획정안이 포함된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처리키로 합의했다.
국회의원 정수는 300석을 유지하되 지역구 수는 현행(246석)보다 7개 늘어난 253석, 비례대표는 47석으로 각각 확정됐다.
인구 기준일은 지난해 10월 말이며, 상한선은 28만 명, 하한선은 14만 명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중동구(13만 8천822명)는 인구 하한에 1천178명 모자란다.
이번에 대폭 조정된 부산 원도심은 전두환 정권 시절인 12대(1984년) 총선까지 중·동·영도에서 2명의 국회의원(박찬종·김정길)을 뽑는 중대선거구제가 유지되다가 노태우 정부 시절인 13대(1988년) 총선 때 중(김광일) 서(김영삼) 동(노무현) 영도(김정길)로 분리돼 각각 1명씩 선출했다.
14대(1992년) 총선 때도 이 선거구가 유지됐고, 정상천(중) 곽정출(서) 허삼수(동) 김형오(영도) 의원이 각각 당선됐다. 이번에 선거구가 3개에서 2개로 줄어들었지만 새누리당 김무성(중영도) 대표와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인 유기준(동서) 의원은 지역구가 달라 정면충돌을 피하게 됐다.
부산(18석) 울산(6석) 경남(16석)의 전체 의석(40석)에는 변화가 없다. 부산에서는 해운대기장갑·을에서 기장이 단독선거구로 떨어져 나가고, 해운대는 갑과 을로 나뉜다. 경남의 경우 인구 상한을 초과한 양산이 2개의 선거구로 분리되고, 인구 하한에 504명 미달하는 산청함양거창이 인근의 의령함안합천이나 밀양창녕과 조정될 전망이다. 권기택·김수진 기자 kt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