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부터 후보자 공모… '공천=당선'에 도 넘는 PK 공천경쟁
11일 후보자 공모에 들어간 새누리당의 공천경쟁이 벌써부터 도(度)를 넘어서고 있다. 부산·울산·경남(PK)지역에서 근거없는 주장과 흑색선전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일부 후보들 간에는 고소·고발전이 난무하고 있다. 벌써부터 공천 후유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본선 경쟁력을 걱정하는 시각들도 많다.
■'너 죽고 나 살자' 식의 공천 경쟁
정치성향이 다원화됐다고는 하지만 PK에서는 '새누리당 공천=당선'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PK지역에선 새누리당의 정당 지지도가 더불어민주당(더민주)과 국민의당을 압도한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도 60%가 넘는다. 부산일보 신년호 조사에선 부산지역 새누리당(58.1%) 지지도가 더민주(14.8%)를 4배 가량 앞섰다. 박 대통령 지지도는 64%나 됐다. 이는 곧 새누리당 공천을 받으면 4·13 총선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높고, 공천 탈락자가 무소속으로 출마해도 당선되기 어렵다는 얘기다.
새누리당 텃밭… 정당 지지도 野 압도
상호 비방·흑색 선전에 고소고발 난무
공천 불복 사태 등 후유증 '불 보듯'
상향식 공천제가 총선 승리 '발목' 우려
새누리당 PK 후보들이 사생결단식으로 공천경쟁에 매달리는 이유다. 그러다 보니 곳곳에서 파열음이 발생하고 있다. 상호 비방과 흑색 선전, 근거없는 주장, 출처 불명의 여론조사 배포는 물론 인식 공격도 난무하고 있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만인 대 만인의 투쟁'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공천경쟁이 과열돼 있다"고 했다.
서부산권의 A 여성후보는 지역구 선거운동 과정에서 자신이 '여성우선추천' 몫으로 전략공천될 것이란 얘기를 하고 다닌다. 하지만 이 지역은 야당세가 강한데다 당내 경쟁후보의 영향력이 상당해 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 지역의 한 여성계 인사는 "우리 지역에 여성을 공천하면 본선에서 참패할 것"이라고 했다.
부산의 B 후보는 모 유력인사의 몫으로 자신이 공천받을 것이란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그 유력인사는 여권 핵심부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 근거가 희박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의 C 후보는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해 빈축을 사고 있다. 이 지역 다른 후보는 "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보니 악의적인 해석이 많았다"고 했다.
D 후보는 최근 "우리 지역 현역 의원은 1차 컷오프 대상"이라는 소문을 퍼뜨리고 있다. 그러나 해당 의원은 의정활동 성적이 뛰어나고 당 기여도가 높아 공천배제 가능성은 낮다.
상호비방과 고소고발전도 난무하고 있다. 울산의 박대동(북) 의원은 지난 5일 윤두환 예비후보를 허위사실 유포 및 자신에 대한 비방 혐의로 울산지검에 고발했다. 새누리당 박대출(진주갑) 의원도 "최근 SNS상에서 '모 방송국 여론조사 결과보도'라는 제목의 자료가 무분별하게 퍼지고 있지만 해당 방송국에서는 그런 여론조사 자체를 실시한 바가 없다고 한다"며 경찰 수사를 의뢰했다. 울산 울주에서는 강길부 의원이 "김두겸 예비후보 측이 허위사실을 유포했다"고 주장하자 김 후보는 "여론조사에 문제없다. 적반하장이다"고 반박했다.
■예고된, 하지만 더 심각한 공천 후유증
공천 후유증은 모든 선거에나 있다. 역대 모든 PK 총선 때도 그랬다. 하지만 이번 PK 공천 후유증이 심각한 것은 '집단 간 대결'이라는 점이다. 과거 전략공천 시절에는 후보자 한사람만 설득하면 어느 정도 후유증이 무마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다르다. 새누리당이 상향식 공천 방침을 밝히자 정치지망생들이 1년 넘게 지역구를 관리하면서 '조직'을 만들었다. 2천 명 이상의 당원을 모집한 후보도 있다. 자신은 공천탈락에 승복하고 싶어도 당원들 눈치 때문에 공천자를 돕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새누리당의 한 고위관계자는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준다는 상향식 공천제가 아이러니하게도 새누리당 승리의 발목을 잡는 최대 적이 될 수 있다는데 당의 고민이 있다"고 했다.
권기택·강희경 기자 kt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