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선 경선 SC(사우스캐롤라이나)·네바다에 사활 건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9일(현지 시각) 미국 대선 뉴햄프셔 주 프라이머리에서 승리한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연설 등을 통해 승리를 자축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 정치권의 관심이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네바다'로 쏠리고 있다.

미국 대선 경선 1, 2차 관문인 아이오와 주 코커스(당원대회)와 뉴햄프셔 주 프라이머리(예비선거)가 끝나면서 이제 미국 정치권의 관심은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네바다 주로 급속히 이동하고 있다.

초반 판세 가를 분수령
3월 1일 슈퍼 화요일 영향

뉴햄프셔 샌더스·트럼프 승
양당 선두 주자 1승 1패


아이오와와 뉴햄프셔가 첫 코커스와 프라이머리를 개최하는 상징성 때문에 '대선풍향계'로 불린다면 이들 2곳과 함께 2월에 경선이 치러지는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네바다는 초반 경선판의 흐름을 좌우하는 일종의 분수령이다.

사우스캐롤라이나 프라이머리는 남부, 네바다 코커스는 서부의 대선 본선 민심을 각각 미리 가늠해볼 수 있는 무대이기도 하다.더욱이 이곳의 결과가 버지니아를 비롯해 10여 개 주 경선이 동시에 실시되는 3월 1일 '슈퍼 화요일'에 직접적 영향을 미쳐 각 주자들이 각별히 공을 들이는 전략적 요충지다.

특히 민주, 공화 양당의 선두 주자들이 아이오와와 뉴햄프셔에서 각각 '1승 1패'의 성적을 거둔 상황이어서 '진짜 승부는 이제부터'라는 관측이 나온다.

민주당의 경우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이 각각 아이오와, 뉴햄프셔를 승리로 장식했고, 공화당에서는 테드 크루즈(텍사스) 상원의원과 도널드 트럼프가 2곳에서 각각 첫 승리를 이뤘다.

양당 주자들은 9일(현지 시각) 뉴햄프셔 프라이머리가 끝남과 동시에 곧바로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네바다로 각각 이동해 11일간의 3라운드 결전에 돌입한다.

민주당과 공화당은 오는 20일 각각 네바다와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3차 경선을 치르며 이후 공화당이 23일 네바다, 민주당이 27일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각각 4차 경선을 한다.

가장 시선을 끄는 것은 공화당의 사우스캐롤라이나 프라이머리다. 첫 승자독식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득표율에 따라 선거인단 대의원을 배정하는 민주당과 달리 공화당은 득표비례제와 승자독식 제도를 혼용하고 있다.

공화당의 사우스캐롤라이나 대의원은 50명으로 숫자도 많은 편이다. 아이오와 대의원 30명을 놓고 1위 크루즈 의원이 8명, 2위 트럼프가 7명, 3위 마르코 루비오(플로리다) 상원의원이 6명, 그리고 군소후보들이 나머지를 나눠 가진 것을 고려하면 사우스캐롤라이나는 '파이'가 큰 곳 지역 중 하나로 분류된다.

더욱이 사우스캐롤라이나는 남북전쟁의 도화선이 된 지역으로, 아이오와처럼 보수적이고 기독교적인 색채가 강한 지역이어서 보수 공화당 입장에서는 더욱 의미가 큰 곳이다. 공화당의 네바다 대의원은 23명이다.

민주당의 경우 대의원이 네바다 20명, 사우스캐롤라이나 27명이다.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전체 대의원(민주 4천763명, 2천472명)의 과반인 2천382명, 1천237명을 각각 먼저 확보하는 쪽이 양당의 대선 후보로 지명된다.현재 여론 흐름을 보면 민주당의 클린턴 전 장관, 공화당의 트럼프가 2곳 모두 압도적 우위를 달리고 있다.

민주당의 경우 NBC-월스트리트저널과 마리스트폴의 지난달 사우스캐롤라이나 여론조사(1월 17~23일·민주당 유권자 446명) 결과 클린턴 전 장관이 64%의 지지율을 기록해 27%에 그친 샌더스 의원을 무려 37% 포인트 앞섰다. 공화당은 트럼프가 36%로 1위를 달렸고, 크루즈 의원 20%, 루비오 14% 등의 순이었다.

김진성 기자 paper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