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온도 상승 2도보다 훨씬 작게"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2일(현지 시간)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본회의가 끝난 뒤 반기문(왼쪽 2번째) 유엔 사무총장과 프랑수아 올랑드(왼쪽 4번째) 프랑스 대통령 등이 박수를 치고 있다. AP연합뉴스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온실가스 줄이기에 동참하는 기후변화 협정인 파리 협정이 12일(현지 시간) 체결됐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195개 협약 당사국은 이날 프랑스 파리 인근 르부르제 전시장에서 열린 총회 본회의에서 2020년 이후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 수립을 위한 최종 합의문을 채택했다. 범지구적인 기후변화 대책을 마련한 것은 1997년 교토의정서를 채택한 이후 18년 만이다.

기후변화 파리 협정 체결
교토의정서 이후 18년 만에
195개국 모두 감축 의무
법적 구속력 없어 우려도


파리 협정이 타결된 순간 파리 회의에 온 각국의 인사와 환경 운동가 등 2천 명의 참석자들은 환호하고 축하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교토의정서는 선진국만 감축의무가 있었지만, 이번 파리협정은 개발도상국을 포함해 195개국 당사국 모두에 감축 의무가 부여됐다는 점에서 진일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파리 기후협정에 참여하는 195개국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협정 당사국들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2도보다 '훨씬 작게' 제한하며, 1.5도까지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합의했다.

현재 지구 온도는 이미 산업화 이전보다 1도가량 상승한 상태다.

한국 등 187개국은 이번 총회를 앞두고 2025년 또는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얼마나 줄일 것인지 자발적 감축목표를 제출했다. 그러나 각국이 감축목표를 이행하더라도 온도 상승폭을 2.7도로 제한하는데 그칠 것으로 추정돼 협정은 당사국이 5년마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출하도록 했다.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이행을 검증하는 시스템도 구축해 2023년부터 5년 단위로 검증을 한다.

온실가스를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배출해온 선진국이 더 많은 책임을 지고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처를 지원하는 내용도 협정에 포함됐다.

선진국은 2020년부터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처 사업에 매년 최소 1천억 달러(약 118조 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각국은 내년 11월 모로코에서 열리는 제22차 당사국총회 등 후속회의를 갖고 협정 이행을 위한 후속 작업에 들어간다.

그러나 환경단체 등을 중심으로 이번 합의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각국의 감축목표 제출은 의무이지만 그 목표는 자발적으로 수립되고 이행 여부도 자발적으로 노력할 사항으로 규정돼 법적 구속력이 없다. . 각국이 감축 목표를 제출하는 것이 의무화됐으나 법적 구속력이 없기 때문이다. 강희경 기자 himang@·일부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