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테러 참사 한 달… 난민에 국경 닫는 유럽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30명의 사망자를 낸 이슬람국가(IS)의 파리 테러가 오는 13일이면 꼭 한 달이 된다. 파리 테러는 프랑스는 물론 전 세계에 큰 파장을 던졌다. 프랑스에선 극우정당이 득세하고, 테러 공포가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 IS 격퇴를 위해 국제사회가 공습에 나섰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는 없다.

■프랑스 극우 돌풍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테러를 당한 프랑스에선 극우정당이 반 이민, 반이슬람 정서를 등에 업고 최근 치러진 지방선거 1차투표에서 제1당에 올랐다.

프랑스 극우 정당 득세
유럽연합 국경 관리 강화
반IS 전쟁 성과 미진
테러 공포 세계 위협 여전


파리 테러 3주일 만에 치러진 지방선거 1차 투표에서 극우정당인 국민전선은 27.7%를 득표해 1위를 차지했다.

마린 르펜 국민전선 대표와 르펜의 조카딸인 마리옹 마레샬 르펜 하원의원이 도 지사 후보로 나서 각각 40%가 넘는 득표율로 1위를 기록하는 등 국민전선은 프랑스 본토 13개 도 가운데 절반인 6곳에서 정상에 올랐다.

니콜라 사르코지 전 대통령이 대표로 있는 우파 야당 공화당은 26.7%,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이 소속된 집권 사회당은 23.1%로 각각 2,3위에 머물렀다.

■난민 통제 강화하는 유럽

2차대전 이후 최악의 난민 유입 사태에 직면한 유럽연합(EU)이 파리 테러 이후 난민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파리 테러 용의자 중 일부가 그리스에서 난민으로 등록한 뒤 프랑스로 입국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유럽통합의 중요 원칙 중 하나인 자유통행에 제한이 불가피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들어 시리아 난민이 대거 EU 지역으로 몰려들면서 이슬람 극단주의자 테러리스트들이 난민에 섞여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유럽 보안 당국자들은 거듭 경고했다.

프랑스는 국경 전체를 봉쇄했고 인근 벨기에도 프랑스 국경에서 검문검색을 강화했다. 유럽에서 난민 수용에 가장 열린 태도를 보이던 독일과 스웨덴마저 난민 입국을 제한하는 취지의 정책을 잇따라 내놓았고, 난민들의 1차 관문인 그리스도 EU의 압박에 국경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IS 격퇴 힘 모으지만…

국제사회의 반 IS 전선이 본격화됐다. 프랑스는 IS와 전쟁을 선언하고 핵 추진 항공모함 샤를 드골 호를 시리아 연안에 급파했다. 공습 전력을 3배로 증강했다. 영국도 IS에 대한 공습을 이라크에서 시리아로 확대했고, 독일도 가세했다.

미국은 지상군 파병 불가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이라크와 시리아에 새로운 '특수임무 원정대'를 파견키로 했다.

러시아도 IS에 의한 자국 여객기 테러를 계기로 IS 공습을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는 미국 주도 국제동맹군과 별도로 병력 2천명을 시리아에 파병했다.

이란도 혁명수비대 최정예군 7천명을 투입했다. 그러나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의 거취를 둘러싸고 '서방-수니파 아랍권'과 '러시아-이란' 진영의 시각 차가 뚜렸하다.

서방은 아사드 축출을 원하고 있지만 러시아와 이란은 거부하고 있다. 결국 미국 등 서방과 러시아가 동상이몽 속에서 IS 공습을 함께하는 양상이다. 여기에 최근 불거진 터키 전투기의 러시아 전폭기 격추는 양측의 간극을 더 키우고 있다. 강희경 기자 himang@·일부 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