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 되돌아본 부산 현안] ①동남권 신공항 건설
몸 사린 지역 정치권… 여전히 '안갯속'
19대 마지막 정기국회가 9일 막을 내렸다. 12월 임시국회가 예정돼 있지만 이날로 19대 국회가 사실상 마감된 것이다. 이번 국회에서 제기됐던 부산지역 주요 현안의 진행상황을 알아 보고, 지역 정치권의 역할과 한계점 등을 점검해 본다. 그 첫번째는 19대 국회의 최대 이슈였던 동남권 신공항이다.
2012년 3월 23일, 새누리당 부산시당은 기자회견을 열고 '7대 중점사업'이 담긴 총선공약을 발표했다.
입지 타당성 조사 시작되자
적극적이던 의원들 '침묵'
타 지역과 경쟁속 결론 못 내
내년 6월 결과 발표 예정
당시 7대 사업 가운데 1순위는 '가덕신공항 건설'이었다.
야당인 민주통합당 후보들도 같은 달 20일 '동남권 신공항의 재추진'을 골자로 하는 공동공약을 발표했다.
'낙동강 전선'에서 야당 바람이 거셌던 지난 총선에서 여야 후보들의 신공항 건설을 약속하며 유권자들의 지지를 호소했다.
그러나 19대 국회가 사실상 막을 내리는 현재까지 동남권 신공항 건설은 어떤 결론에도 도달하지 못한 상태다.
지난해 발표된 항공수요조사에서 신공항 건설을 위한 수요가 인정됐지만 최대 쟁점인 입지는 물론, 공항의 규모나 성격조차 결정되지 않고 있다.
부산 정치권은 신공항에 대한 여론의 민감도를 감안해 19대 국회 초기에는 비교적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여당인 새누리당의 경우 부산시당에 신공항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진행상황을 점검하는 모습을 보였다.
수요조사 예산 부족 문제가 불거지자 지역 정치권이 앞장서 예산을 확보하기도 했다.
그러나 신공항의 운명을 결정할 입지타당성 조사가 시작되자 정치권은 일제히 침묵 모드에 돌입했다.
당 대표인 김무성 의원이 소속 의원들에게 공개적으로 '함구령'을 내린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김 대표는 제주 신공항에 대해서는 "시급히 결정해야 한다"는 등의 발언을 이어갔지만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선 TK 여론을 의식해 언급을 피하고 있다.
TK지역 의원들과의 소통은 시도도 못해보고 있고 부산시당의 신공항 TF는 1년 이상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정치권이 '몸 사리기'에 돌입하자 정부도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국가 기간시설인 국제공항에 대해 어떤 정책적 방향성도 제시하지 않고 공항의 성격과 규모까지 외국계 용역사에게 맡겨놓은 상태다.
신공항 입지타당성 조사 결과는 내년 6월에 발표될 예정이어서 부산 정치권은 신공항 건설에 대한 '심판' 없이 다음 총선을 맞게 됐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