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보증기구 '자금난' 민간출자로 숨통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6일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부산국제금융센터에서 해양 금융 활성화 방안 세미나를 개최하는 캠코 관계자들이 선박펀드 등 해양업계 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김경현 기자 view@

조선과 해운업계 등 해양업계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각계 전문가들이 부산에서 잇따라 머리를 맞댄다.

국회 김정훈(부산 남구갑) 의원실은 27일 오후 1시30분 부산국제금융센터 한국거래소 62층 대회의실에서 '해운보증기구의 안정적 재원 조성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정책 세미나를 개최한다.

김정훈 의원 27일 정책 세미나
해양금융센터와 협업 방안 토론

캠코, 선박 펀드 조성안 논의

이날 세미나에서는 자본시장연구원 이성복 박사와 한국해양대 윤희성 겸임교수가 해운보증기구가 안정적으로 재원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를 실시한다. 금융위원회와 부산시 해양수산국, 선주협회, 법조계 등의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해 토론을 벌인다.

해운보증기구는 해운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난 8월 출범했다. 국적 선사들이 선박을 매입할 때 후순위 투자에 대한 보증을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출범 당시 자본금은 600억 원. 초기 자본금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출자했다. 당초 향후 총 자본금 규모는 5천500억 원 규모로 예측됐다. 정부 등이 2천700억원을, 민간에서 2천800억 원의 재원을 내놓는 방식으로 충분한 재원을 마련, 해운보증기구가 선사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자는 것.

하지만 해운보증기구는 당초 계획대로 출자금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자금난을 겪고 있다는 게 김정훈 의원의 설명이다.

이성복 박사는 "조선·해운산업은 국가의 중요한 기간 산업이지만 경기 변동에 취약한 특징이 있는만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금융지원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며 "해운보증기구의 설립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초기 출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안정적 재원 조성을 위해 현재의 자본금 조성 계획을 조정하고 민간 출자를 다변화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윤희성 교수도 "다양한 민간자본이 투자되어야 해운보증기구가 역할을 확대할 수 있다"며 재원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 토론회에서는 정부 차원의 정책적인 지원, 수혜 업종 기업들의 출자 참여 등 다양한 대안이 제시될 예정이다.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와 한국해양대도 26일 오후 3시 부산국제금융센터 3층 다목적홀에서 '선박펀드 조성과 해양금융의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공동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날 캠코 투자금융부 김우석 과장과 해양대 이재민 교수 등이 '선박펀드 활성화 전략' 등을 주제로 발표한다. 임상규 부산시 금융중심지협력관과 이기환 한국해양대 교수, 장지태 부산일보 수석논설위원 등이 선박은행 활성화와 해운업 구조조정 지원을 위한 선박 매입 추진 방안 등에 대한 집중적인 토론에 나선다.

김정훈 의원은 "해운보증기구의 출자금을 확대하면 해운산업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며 "해양금융종합센터와의 효율적인 협업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거두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영철 기자 cyc@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