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으로 성공' 아메리칸 드림 허구 파헤쳐
능력주의는 허구다 / 스티븐 J 맥나미 외
학교 수업에 충실해 명문대에 들어갔던 할아버지는 "입시는 전략"이라는 손자의 말을 이해할 수 없다. 성실을 무기로 일가를 이룬 아버지도 취업 안 되는 세상을 탓하는 아들을 이해할 수 없다.
부모 재산의 많고 적음에 따라 자녀의 지위가 결정된다는 금수저·은수저·동수저 계급론이나 희망 없는 사회를 상징하는 헬조선을 바라보는 시선은 세대 간 차이가 크다. 한국전쟁이라는 지옥을 경험한 세대에게 젊은이들의 불평은 투덜댐일 뿐이고, 희생과 헌신으로 산업화를 일군 이들도 헬조선이란 용어가 불편하다. 힘겨운 20대는 현실을 신랄하고 아프게 통찰한 신조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어른들이 답답할 뿐이다.
능력만으로 신분 상승 '옛말'
부모 경제·문화적 자본이 좌우
아버지 세대 상향적 계층 이동
20세기 산업구조 개편 급변 탓
진정한 기회 평등 이젠 요원
'능력주의는 허구다'는 미국의 사회학자 두 명이 '아메리칸 드림'이 어떻게 무너지고 소모되어 지는 지를 분석한 책이다. 이민자들에게 기회의 땅이자, 개인의 노력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열린 공간인 미국이 어떻게 닫혀가고 있는 지 서술했다. 비슷한 변화를 겪고 있는 한국 사회에도 적용해 볼 수 있다.저자는 '능력주의'와 '능력'을 재정의한다. 사람들은 열심히 노력해 능력을 키운다면 누구든 성공할 수 있다는 능력주의에 열렬히 환호했다. 특혜 없이 모두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상관 없이 오로지 개인의 능력에 따라 보상을 제공한다는 논리는 수많은 사람들을 현혹시켰다. 산업화가 태동할 시기에는 더더욱 그러했다. 20세기에는 일자리의 유형이 전반적으로 업그레이드 됐다. 과거에는 비숙련 노동 인력이 농업 경제의 근간이었지만 그들을 위한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고 대신 공장과 사무직 일자리가 늘어났다. 이 시기에 개인이 경험한 상향적인 계층 이동은 개인의 능력 덕분이 아니라 사회의 구조적인 변화 때문이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 아들은 각자 전혀 다른 기회 구조와 맞닥뜨렸다. 하지만 이런 사회적인 변화의 물결에 휩쓸린 사람들은 능력주의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혀 오직 자신의 능력 때문에 사회적 지위가 높아졌다고 성급하게 잘못된 결론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