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낙제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고리 1호기 폐로'와 맞물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시민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부산시의 정책 수준은 정부 결정에 따라가거나 그마저도 보조를 맞추지 못하는 걸음마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 전체 1.2% 차지
17개 시·도 중 13위 그쳐
기장군 시범타운 등 계획 무산

29일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2013년 부산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11만 7천TOE(석유환산톤·원유 1톤이 발열하는 칼로리를 기준으로 표준화한 단위), 전체 에너지 생산량의 1.2%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3위를 차지했다. 또 7대 특별·광역시 중에서는 5위로 서울은 물론, 울산, 인천, 대구보다도 못한 수준이다.

이마저도 쓰레기를 소각해 만드는 폐기물 또는 바이오 에너지가 대부분(79%)을 차지했고 풍력 등 실질적인 대체에너지인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수준은 기대에 크게 못 미쳤다.

부산시는 당초 2013년까지 기장군에 신재생에너지 복합시범타운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무산이 됐고 2012년까지 조성 계획이었던 강서구 풍력부품단지도 목표연도보다 3년이 지난 시점인데도 부지 확보만 했을 뿐 진척이 되지 않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관련해 부산시는 2035년까지 전체 에너지 생산량의 8%를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정부가 정한 목표 보급률 11%에도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부산시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들도 대부분 국비 매칭 방식의 사업들에 한정돼 있어 정부 보조금에만 기대 있을 뿐 부산시 자체의 비전은 없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현재 부산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주요 사업은 태양광,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등을 주택에 설치하면 일정액을 지원해 주는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사업(올해 시비 2억 원 투입)과 공공기관 등에 태양광이나 소형풍력장치를 설치하면 설치비를 지원해 주는 지역지원사업(올해 시비 22억여 원 투입)이 있다. 이는 다 국비 지원을 받아 추진하는 사업들이다.

이와 관련해 29일 오전 부산시민센터에서 개최된 포럼 '대도시 부산, 에너지 전환 가능한가'에서는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의 조언이 쏟아졌다.

토론자로 나온 최인화 ㈔환경과 자치연구소 기획실장은 "서울에 이은 '에너지 시티' 가입, 경기도의 에너지비전 2030 선언 등의 사례처럼 부산시가 큰 그림을 그려야 할 시점"이라면서 "주민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는 풍력발전단지의 경우 주민들이 지분 참여로 실질 이익을 가져갈 수 있는 형태의 덴마크 모델을 가져올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