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연 "국정화 논란 정치권은 빠지자"
'역사 교과서' 정국에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29일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역사 교과서 문제를 백지상태에서 논의할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을 제안했다.
문재인 "백지상태서 재논의"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 제안
새누리 "선거패배 책임 회피" "
정치적 노림수" 즉각 거부
그러나 새누리당은 "교과서 문제를 정치의 한복판으로 끌고와 정쟁을 지속시키겠다는 정치적 노림수"라며 문 대표의 제안을 즉각 거부했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내달 5일 국정화)확정고시 전에 대통령에게 마지막으로 역사 교과서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을 드린다"며 역사학계·교육계 전문가들과 교육주체들이 두루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을 제시했다.
앞서 새정치연합은 검·인정 교과서의 문제를 검토하는 국정조사, 교과서 검증위원회 구성 등을 제안했지만 여권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문 대표는 "논의기구 결과에 따르는 것을 전제로 정치권은 산적한 민생현안에 전념하자는 취지"라며 "우리 당도 반대 운동을 잠시 접고 경제·민생 살리기에 전념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성 총무본부장은 논의기구에 대해 "정치권을 배제하고 역사 관련 전문가들과 단체들이 교과서에 대한 논의를 하라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대표는 이어 "우리 당은 확정고시에 결코 굴하지 않을 것"이라며 "헌법소원, 대안교과서 만들기 운동 등 모드 방안을 강구하고, 부족하면 보다 비상한 결단도 검토하겠다"고 '결사항전' 의지를 재차 밝혔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듯 단박에 제안을 거절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10·28 재보궐선거에서 완패한 야당 지도부가 선거 패배의 책임을 회피하고 야권의 분열을 막으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며 "지금 문 대표가 할 일은 국회에서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 처리와 예산안 심의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말로는 '민생 먼저'라면서 잘못된 역사 교과서를 유지하려고 장외 전투를 벌이는 것은 잘못된 선택"이라며 "지금 여야가 있어야 할 곳은 국회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무성 대표도 이날 경북 경주 숭무전에서 열린 종친회 행사에 참석했다가 문 대표 제안을 전해듣고는 "사회적 기구가 바로 (국정 교과서)집필진 구성"이라며 "집필진 구성에 야당의 의사도 반영될 수 있도록 참여하면 그것이 바로 사회적 기구"라고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