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90 이 노래 이 명반] 17. 이선희 4집과 5집
'J에게' 그녀를 빼고 80년대 가요를 이야기 말라
1984년 전반기 가요계 최고의 히로인은 단연 최혜영이었다. 그녀의 데뷔앨범 수록곡 '그것은 인생'은 당시 최고의 인기곡이었고 후속곡 '물같은 사랑'의 인기도 만만치 않았다. 그대로라면 연말 각종 신인상은 말 그대로 떼놓은 당상이었다.
바로 그때 일시에 판도를 뒤바꿔버린 문제가 있는그 사람이 홀연히 등장한다. 그녀의 이름은 이·선·희였다. 1984년 여름, 인천전문대 학생이던 이선희는 같은 학교 임성균과 함께 '4막5장'이라는 혼성 듀엣으로 강변가요제에 참가해 대상을 거머쥐었다. 수상곡은 'J에게'였다. 그날을 기점으로 가요계의 인기 판도는 격랑 속으로 휩쓸려 들어갔다.
강변가요제 대상 후 솔로로 본격 활동
84년 최고 히트 가요…각종 상 휩쓸어
송시현과 만나 4·5집 작업 음악도 변화
5집엔 '오월의 햇살' 등 사회성 짙은 곡도
■가요계 판도 바꾼 '4막 5장'의 등장
임성균의 입대로 인해 솔로로 본격 활동에 나선 이선희의 인기는 상상을 초월했다. 'J에게'는 KBS 가요톱텐에서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는 등 절대적인 인기를 얻으며 1984년 최고의 히트곡이 되었고, 연말 KBS 가요대상과 MBC 10대 가수가요제의 신인상 역시 당연히 이선희의 차지였다. 개인적인 감상을 말하자면 당시 나는 최혜영과 '그것은 인생'을 좋아했다. 이선희와 'J에게'의 등장은 최소한 그녀에게는 불운이었다. 'J에게'의 인기가 얼마나 대단했으면 얼마 후 'J그대는'이라는 유사품이 나오기도 했다. (두 곡 모두 이세건이 작사, 작곡한 노래다)
■1985년, 정식 데뷔와 히트 퍼레이드
'J에게' 단 한 곡으로 1984년을 자신의 해로 만들어버린 이선희의 정규 1집은 이듬해인 1985년 초에 나왔다. 여기서 '아! 옛날이여', '갈등', '소녀의 기도' 등이 연달아 히트하면서 그녀는 자신의 인기가 'J에게'의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을 것을 입증했다. 그 해가 가기 전에 다시 내놓은 2집에서는 '갈바람', '괜찮아', '그래요 잘못은 내게 있어요' 등의 히트곡이 계속해서 나왔고 1986년 나온 3집에서도 '알고 싶어요', '어둠은 걷히고', '영' 등이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선희 + 송시현, 발전의 증명서 4집, 그리고 5집
1988년 2월에 나온 4집은 이선희의 디스코그래피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여기서부터 그녀의 음악이 의미 있는 변곡점을 맞이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변화의 실마리를 설명하는 이름 하나가 있다. 바로 송시현이다.
1987년 '꿈결같은 세상'의 히트로 이름을 알린 싱어송라이터 송시현은 이때부터 이선희의 앨범 작업에 참여하기 시작했는데, 4집에서 LP의 A면 타이틀곡인 '사랑이 지는 이 자리'와 B면 타이틀곡 '나 항상 그대를'를 포함해 모두 4곡이 그의 작품이다. 둘의 만남은 성공적이었다. 송시현 특유의 감수성과 서정성은 이선희의 목소리와 잘 어우러졌고 이후에도 그는 한동안 이선희와 함께하게 된다.
4집에서 가장 높은 관심이 쏠렸던 곡은 '아름다운 강산'이다. 한국 록의 거인 신중현의 명곡을 리메이크한 '아름다운 강산'에 대한 평가는 다소 엇갈리지만 대체로 편곡과 연주 면에서는 그리 높은 점수를 얻지 못한다. 하지만 이 곡에서마저도 이선희의 가창력만큼은 나무랄 데가 없다. 더구나 그때까지만 해도 대중적으로 그리 크게 알려지지 못했던 이 명곡이 이선희의 리메이크로 인해 많은 이들로부터 사랑받게 되었으니, 그 공로 또한 작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4집에서 윤태영 작사, 작곡의 '세월은 흘러도'를 가장 좋아한다. 쉽고 평이한 멜로디를 지닌 이 노래는 비록 크게 히트하지는 못했지만 보사노바풍의 세련된 편곡이 대번에 귀를 사로잡는 곡이다.
![]() |
이선희 4집(왼쪽 사진)과 5집 앨범 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