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로봇랜드' 새 사업자와 손잡고 리부팅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경남도는 23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로봇랜드조성사업 현장에서 새로운 민간사업자인 ㈜대우건설컨소시엄과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경남도 제공

경남 마산로봇랜드 조성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재개된다.

경남도는 23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로봇랜드조성사업 현장에서 새로운 민간사업자인 ㈜대우건설컨소시엄과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경남도, 대우컨소시엄과 협약
MRG 등 사업자 유리 조항 빼
민간투자법 준용 부담 최소화


이날 실시협약에 따라 마산로봇랜드조성사업은 현장 인수와 측량 등 공사시행을 위한 준비작업을 거쳐 오는 11월 중 토목공사를 재개하기로 했다. 내년 3월까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를 거쳐 1단계 사업(공공 부문과 테마파크)을 2018년 상반기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2단계 사업(민간 부문)은 2019년 하반기까지 준공할 방침이다.

경남도는 새로운 민간사업자인 ㈜대우건설을 영입하는 과정에서 창원시, 로봇랜드재단과 함께 40여 차례에 걸친 협상을 벌였다. 그 결과, 최소 운영 수익보장(MRG)과 사업중단 시 의무적 매수 청구권, 2단계 사업용지 매각차액 임의 사용 등 사업자에게 유리한 조항을 배제했다. 그간 논란이 됐던 계약해지 시 지급금에 대해서도 기존 사회기반시설에 관한 민간 투자법을 준용해 지급률을 18.5~25%로 낮춰 행정 부담을 최소화했다.

윤한홍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국책사업인 마산로봇랜드조성사업은 한국 로봇산업의 발전은 물론 침체한 마산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영식 ㈜대우건설 사장은 "마산로봇랜드사업은 세계 최초의 로봇 테마파크와 연계된 로봇산업기반 조성사업인 만큼 반드시 성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7천억 원(국비 560억 원, 도비 1천억 원, 창원시비 1천100억 원, 민자 4천340억 원)을 투입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복리·반동리 일대 126만㎡에 R&D센터, 로봇전시관, 로봇시험장 등 로봇산업 공공시설과 로봇테마파크, 호텔 등 민간시설을 건립하는 국책사업이다. 경남도는 이 사업으로 1만여 명의 고용 창출 효과와 8천500억 원의 생산파급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경남도는 로봇기술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로봇랜드를 기반으로 로봇 비즈니스 벨트를 구축해 마산 일대를 국내 로봇산업의 메카로 육성할 방침이다. 인근 진해 글로벌테마파크, 구산 해양관광단지와 연계한 새로운 관광 비즈니스 벨트도 구축할 계획이다.

한편 이 사업은 지난해 10월 민간사업자로 선정됐던 울트라건설㈜의 부도로 공정 13%에서 중단됐다.

그러다가 경남도가 대우건설을 대체 사업자로 염두에 두고 협상을 진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안상수 창원시장이 "업자에게 특혜를 준 불공정한 조건"이라고 하자 경남도가 발끈해 사업 재개 절차가 중단됐다. 이후 경남도와 창원시가 갈등을 해소해 사업이 재개됐다.

백남경·이성훈 기자 nkbac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