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담화-광복절 경축사로 본 한·일 관계 전망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여론 살피며 관계 개선 드라이브 걸 듯

광복절인 15일 서울 중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회원들이 일본 아베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문을 향해 신발을 던지고 있다. 연합뉴스

아베 담화와 박근혜 대통령의 제70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계기로 한·일관계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청와대와 정부는 광복절 경축사에서 언급된 대일 메시지와 하반기 주요 외교일정을 중심으로 경색된 한·일관계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지난 1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전후 70주년 담화(아베 담화)가 '무늬만 사죄'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박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 문제를 지적하면서도 절제된 톤으로 일본 정치 지도자들에게 앞으로의 행동과 실천을 주문했기 때문.

박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아베 담화에 대해 "우리로서는 아쉬운 부분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밝히면서 "이제 올바른 역사인식을 토대로 새로운 미래로 함께 나아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6월 국교정상화 50주년을 계기로 어렵사리 불씨를 살려놓은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드라이브를 지속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정부는 아베 담화에 대한 국민적 여론이 곱쟎은 만큼 여론의 추이를 살피면서 일본과의 관계 개선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한·일관계와 관련, 최대 관전 포인트는 오는 10~11월로 예상되는 한·중·일 정상회담이다. 연내 한·일 정상회담 성사를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우선은 한·중·일 정상회의가 한·일관계 개선의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전망이다.

역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여부가 한·일관계 정상화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한·일 간 과거사 현안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해결 노력을 촉구하면서도 안보·경제 등 상호 호혜적 분야에서 협력은 계속하는 투트랙 전략을 계속할 방침이다.

오는 10월 16일로 예정된 박 대통령의 방미 및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다음 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승전 70주년(전승절) 기념행사도 주목된다. 미·중 간 패권경쟁과 한·미·일 안보협력을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우리 정부로서는 셈법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송현수 기자 songh@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