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미세먼지 '비상'] 부산시의 미세먼지 경각심은 '먼지 수준'
올 들어 발효된 미세먼지 주의보 일수가 서울에 비해 부산이 배나 많을 정도로 상황이 심각한데도 이와 관련한 부산시 대응은 소극적이기만 하다.
지난 1월 부산시가 조직 개편을 단행하면서 환경국을 기후환경국으로 바꾸고 기후대기과를 계 단위에서 과 단위로 승격시켰다.
뒤늦게 저감 대책 용역
학계 "대기환경청 절실"
또한 기후대기과를 기후환경국의 주무 과로 배치하면서 대기 관련 부산시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가 컸다.
하지만 부산시의 대응은 최근 '미세먼지 발생원별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용역을 시작한 정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도로청소차량 대수를 늘려야 한다는 부산시 안팎의 지적이 있었지만 이마저도 미적대는 모습을 보여 "도로 물청소에 손을 놓았다"는 비판(본보 지난 3월 27일자 1면 등 보도)을 받기도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미세먼지 대응에 관련된 부산시 노력으로 "노약자의 건강에 미칠 영향을 생각해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될 경우 교육청에 통보해 실외활동을 자제하라는 등의 홍보를 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 정도 수준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지역 의료계에서는 부산시가 미세먼지에 취약한 노약자, 미세먼지 취약지에 대해서만큼은 더욱 더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홍영습 동아대병원 환경보건센터 소장은 "취약자, 취약지 주민에 대해서는 미세먼지 예경보를 알려주는 데서 끝낼 것이 아니라 마스크를 지급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하고 이를 위한 예산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홍 소장은 아토피 등 환경에 의한 건강 영역은 건강체육국에서 맡고 있는데 이를 '환경 보건'영역에서 통합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또 부산대 화공생명·환경공학부 환경공학전공 오광중 교수는 "환경부 산하에 대기만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대기환경청을 부·울·경에도 만들 필요가 있다는 학계 주장이 있어 울산 등 일부 지역에서 한 때 추진을 한 것으로 안다"면서 "부산시와 부산 지역 정치권이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