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래, 기로에 선 한국] 9. 사물인터넷과 스마트시티 : 바르셀로나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사물을 인터넷으로 이으니 낡은 도시도 스마트해졌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정보 네트워크를 설치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대거 확충하는 등 스마티시티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사진 왼쪽은 정보와 지식을 집약시키는 도시 재생 계획을 추진 중인 22구역과 이 구역의 랜드마크인 토레 아그바르. 가운데는 스마티시티 시범 지역인 본. 오른쪽은 바르셀로나의 명물인 성가족성당. 김기홍 교수 제공

"스마트시티의 개발은'할 것인가 말 것인가'(if)의 문제가 아니라'언제 할 것인가'(when)의 문제이고, '무엇을 할 것인가'(what)의 문제가 아니라'어떻게 할 것인가'(how)의 문제이다." -시장 조사 기관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가우디의 성가족성당(샤그라다 파밀리아)으로 유명한 스페인 바르셀로나. 그 바르셀로나의 본(Born) 지역에 가면 조금 이상한 것을 보게 된다. 주차장 가운데에 있는 타원형의 검은 표시, 가로등에 달려있는 네모난 통이 그것이다. 쓰레기통의 뚜껑에서도 타원형의 검은 표시를 볼 수 있다. 무엇일까?

센서다. 주차장의 센서는 그 주차장의 활용 여부와, 주차한 차의 주차시간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가로등의 센서는 사람과 차의 통행 정도에 따라 스스로 불을 켜고 대기오염을 측정한다. 쓰레기 통의 센서는 쓰레기통을 언제 비우는 게 좋을지 정보를 제공한다.

주차장의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하고, 쓰레기 수거를 위한 시간과 경비를 절약하게 한다. 작은 일이지만 매우 큰 일이기도 하다. 스마트시티의 전형이 여기서 시작된다.

디지털화 추진 바르셀로나
에너지·시간·비용 절약 등
도시 문제 처리 효율성 높여
일자리 5만 6천 개도 창출
시민 공감대 속 벤치마킹 필요

■ 사물인터넷과 스마트시티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세상의 모든 사물과 사물이, 혹은 사물과 사람이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정보를 주고 받게 된다는 것. 그게 뭐 그리 큰 일이냐고? 하지만 그 효과는 개인과 기업과 산업을 바꾸게 되고 마침내 우리가 사는 방식을 바꾸게 된다.

사물인터넷의 정점에 스마트시티가 있다. 모든 사물에 센서가 부착되고 그 센서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되면 우리가 사는 도시의 삶과 환경은 대폭 바뀌게 된다. 왜 하필 도시인가? 현재 70억 명인 세계 인구는 2050년에는 93억 명으로 증가하고 그중 70% 이상은 도시에서 거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럴 경우 도시는 심각한 질병을 앓게 된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쓰레기다. 세계 고체 쓰레기는 13억t(2012년)에서 22억t(2025년)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 쓰레기 처리에 3천775억 달러(2025년 기준, 세계은행 추산)의 비용이 들게 된다. 상수도 문제는 어떤가? 미국의 경우 낡아서 문제가 있는 상수도 인프라를 재건하는 비용이 향후 25년 동안 1조 달러가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뿐 아니다. 오래되고 낡은 가로등 문제, 정체를 거듭하는 교통문제, 늘어가는 차량과 포화상태인 주차공간 문제. 이들 문제는 무작정 도로와 가로등, 그리고 주차공간을 늘린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적절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요자에게 주어져야만 공간과 에너지의 부조화가 해결될 수 있다.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 도시의 디지털화, 즉 스마트시티가 제안되고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 통신 업체인 시스코(Cisco)의 추산에 따르면 스마트시티가 개발될 경우 비용을 절감하거나 효율적으로 문제를 처리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14조 4천억 달러의 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22@barcelona project'

2013년 바르셀로나는 시스코와 협력하여 도시 전체에 사물인터넷을 적용할 계획을 세웠다. 기본적인 목표는 시 전체에 500㎞의 정보 인프라 네트워크를 설치하고 500개의 무선 인터넷 핫스팟을 제공함으로써 도시 전체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이 연결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것이었다.

이 야심찬 스마트시티 계획의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것이 앞서 언급한 본 지역이다. 바르셀로나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시티제니스(Cityzenith)사와 협력하여 시 각 기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도시 데이터 관리시스템(city DataBase)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도시에 설치된 각 센서가 보내주는 실시간 데이터, 최신 교통정보, 시민들과 관련된 재난정보, 기타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그것도 3D의 형태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도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한다.

바르셀로나의 이런 스마트시티 계획은 '22@barcelona project'라는 도시 재생계획과 밀접하게 연결된 것이다. 이는 바르셀로나 해변가의 도시 중심에 위치한 노후된 22구역(포블레노)을 정보와 지식이 집약된 도시로 재생하려는 것이다. 2000년 시작된 이 계획에는 1억 8천만 유로의 비용이 들었는데, 그 결과 4천500개의 새로운 기업이 이 지역으로 이전하였고(이 중 47.3%가 신규 기업), 이 중 31%의 기업이 기술과 지식 집약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그 결과 5만 6천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졌는데 이 일자리는 향후 15만 개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 지역의 토레 아그바르라는 건물은 바르셀로나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부각되고 있다. 또, 스마트시티의 시범지역인 본 구역이 이 지역에 인접해 있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이 프로젝트의 파급효과가 스마트시티의 기본계획과 동일한 궤적을 가지기 때문이다.



■ 스마트시티 구축의 필요조건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대규모의 IT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런 IT투자와 사물인터넷 그리고 스마트시티가 한 도시의 생활방식, 환경, 교통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부산 사상지역 재개발을 위해 '22@barcelona project'를 벤치마킹하려 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사물인터넷과 스마트시티를 부각시키려는 최근의 움직임은 바람직하다. 바르셀로나가 새로운 도시가 아니라 낡은 도시라는 점에서, 그리고 부산과 같이 바다를 끼고 있는 도시라는 점에서 이 도시의 방법을 본받으려는 것은 나쁘지 않다.

하지만, 정작 본받아야할 것은 이 도시의 하드웨어적인 계획이 아니라 스마트시티의 필요성을 확산시키고 시범계획을 만들어가는 그 절차와 리더십이다. 그런 점에서 시민들과의 공감대 형성은 필수적이고,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부산의 스마트시티 정책을 총괄하고 모든 문제를 유기적으로 파악할 최고 디지털경제 책임자가 선정되어야 한다. 


김기홍

부산대 경제학부 교수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