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허브 부산' 시대 연다, BIFC(부산국제금융센터) "ON"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금융도시 부산 시대'가 시작됐다. 중앙 정책 금융기관의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이전이 완료됐기 때문이다.

지난 2005년 부산으로 이전한 한국거래소와 기술보증기금까지 합쳐 총 6개의 금융공공기관이 지방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틀게 되면서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갖췄다.

쉽지 않은 과제가 수두룩하다.

KRX·자산관리공사 등 보금자리
'금융도시 부산' 향한 첫걸음

미미한 '부산 본사' 역할 강화
예탁결제원 민영화 등이 숙제


이전 공기업의 부산화가 절실하다. 부산을 금융중심지로 육성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한 출발점이 이들 금융기관의 부산화다.

부산발전연구원 이종필 박사는 "이전 기업이 몸만 부산에 오고, 마음은 서울에 있는 상태가 지속된다면 기관 이전 효과를 거둘 수 없고 서로 불행할 뿐이다"고 지적한다.

부산 본사 기업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게 급선무라는 뜻이다.

이와 관련, 한국주택금융공사 김재천 사장은 "부산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점진적으로 지역 인재 채용을 확대하고 콜센터 부산 이전을 검토하는 등 고용증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장학금 전달, 복지시설 후원 등 취약계층 돌봄사업을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한국자산관리공사 홍영만 사장은 "부산지역 사회와의 상생협력, 지역기업과의 연계활동 강화, 공공기관 합동 채용 설명회 개최 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방위 활동 강화와 함께 지역 인재 채용 확대에 앞장 서겠다"고 약속했다.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작업도 시급하다. 한국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은 "부산시뿐 아니라 부산기업과 협조해 신규 먹거리와 신종 사업을 모색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전 기관이 기존 사업영역에 머무는 대신 부산을 기반으로 한 새 사업영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같은 업무 확대를 통해 지역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게 부산뿐 아니라 국가전체 차원에서도 이익이다.

해양종합금융 육성도 더 미뤄선 안될 과제다. 새누리당 김정훈 의원(부산 남구갑)은 "해양종합금융센터를 중심으로 한 선박금융, 해운보증기구를 통한 해운산업보증, 그리고 이 둘을 기반으로 해양수산을 총괄하는 2조 원 가량의 해양종합펀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해양금융의 새 장르를 열어 문현금융단지와 부산 발전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는 얘기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홍영만 사장은 "선박펀드 운영경험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선박 매입을 추진해 해운보증기구와 함께 해운업계 구조조정 지원 및 금융산업 시너지 창출 도모 등 선박금융 클러스터 조성에 일조하겠다"고 밝혔다.

정책적 지원은 빼먹을 수 없는 대목이다. 추진 중인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의 공기업 탈피와 민영화는 선결과제로 꼽힌다. 과감한 사업 확대와 부산화를 위한 시작이기 때문이다. 부산의 정치적 역량과 부산시, 공기업이 뜻을 모아 보다 자유로운 기업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자는 취지다.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이 부산에 애정을 갖도록 유도하는 정책적 뒷받침도 필요하다.이전 기관 직원에 대한 주택과 교육 환경 지원도 병행해야 한다. 이들 인력이 금융중심지로 가기 위한 소중한 자산이기 때문이다.

시급한 건 외국계 금융기관의 유치다. 이를 위해서는 문현금융단지를 금융특구로 지정해 조세우대정책을 펼치는 것도 필요하다.

이전 공공기관과 기존의 금융기업을 망라한 협의체 설립와 발전기금 마련도 시급한 과제다. 민간 주도의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금융기관이 합심해 금융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일구자는 것. 부산대 김창수 교수는 "부산시가 주체가 되는 조직 대신 민간이 주도하는 거버넌스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선물거래소 유치 운동부터 관여해왔던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박인호 회장은 "부산이 금융도시를 꿈에라도 생각해본 적이 있느냐"면서 "부산 발전뿐 아니라 국가균형발전의 기폭제가 되도록 지혜와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은 이제 값진 구슬을 어떻게 꿸 것이냐는 숙제를 안게 됐다.

이병철·임태섭·이승훈 기자 peter@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