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계륵' 산폐물 소각장, 공원 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산업폐기물 소각장이 2016년 하반기 양산시로 인수인계된 뒤 철거될 예정이다. 김태권 기자

경남 양산지역의 대표적인 고질 민원이었던 산업폐기물 소각장이 공원으로 탈바꿈된다.

나동연 양산시장은 "최근 경남도와 경남개발공사로부터 소주공단의 산업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무상양도 제의를 받고 부서별로 검토 중에 있다"고 12일 밝혔다. 개발공사 측의 소각장에 대한 무상양도 제의는 소각장이 준공된 1998년과 2005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시는 소각장을 운영하고 있는 업체의 임대가 끝나는 오는 2016년 하반기에 인수를 받은 뒤 시설물을 철거하고 공원 조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두 번 무상양도 제의를 거부한 시가 이번에 인수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은 이전과는 사정이 많이 달라졌기 때문.

소주공단 조성 후 IMF 직격탄
물량 부족 애물단지로 전락
시설 노후화로 민원 잇따라
시, 인수 후 2016년 철거키로


개발공사는 1991년 60여 개의 기업체를 유치하기로 하고 양산시 소주동에 약 70만㎡ 규모의 소주공단을 조성했다.

개발공사는 또 94년 30억 원과 97년 47억여 원을 들여 공단에서 발생하는 오폐수와 폐기물 처리를 위해 공단 내 1만 500여㎡ 부지에 1일 4천t 용량의 오폐수처리장과 30t 용량의 폐기물소각장, 약 1만㎥ 규모를 매립할 수 있는 매립장을 만들어 98년 7월 준공했다.

그러나 개발공사는 당시 IMF로 인한 경제난으로 입주 업체가 당초 계획보다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이 때문에 개발공사 측은 오폐수와 폐기물 물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자 오폐수처리장과 소각장을 가동하지 않았다. 오폐수처리장은 2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한 번도 가동되지 않아 지역의 대표적인 예산낭비 사례이자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개발공사는 또 98년과 2005년 2차례에 걸쳐 오폐수처리장과 소각장의 관리를 양산시로 넘기려고 했지만 시가 인수를 거부해 무산됐다.

시는 98년의 경우 물량 부족에 따른 연간 5억 원의 적자 발생이 우려되는데다 주민 집단 민원을 이유로, 2005년에는 양산신도시에 1일 200t 규모의 소각시설을 건설 중에 있어 중복 투자에 따른 비효율을 이유로 각각 인수를 거부했다.

이후 개발공사는 2000년 폐기물소각전문 중간처리업 허가를 받아 2001년∼2009년까지 H사, 2009년∼2016년 6월까지 M사와 차례로 임대차계약을 맺고 소각장을 운영해오고 있다.

하지만 시설 노후화에 따른 미세먼지와 오염물질 배출과 폐기물보관 잘못 등으로 수차례 환경당국에 적발되는 등 민원이 잇따랐다.

특히 소주동 주민들은 물론 소각장 인근에 건립된 700세대 규모의 아파트 입주민들이 '노후 소각장 가동에 따른 생존권을 위협 받고 있다'며 수차례에 걸쳐 철거를 요구하며 반발했다.

시 관계자는 "과거 2차례에 걸쳐 인수인계 제의를 받았지만 거부했다"며 "하지만 소주동 주민들의 민원이 쇄도함에 따라 민원 해소 차원에서 인수를 적극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