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수능' 대혼란, 교육 당국 근본 대책 세워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오늘 수험생 60여만 명에게 개별 성적표가 배부된 2015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역대 최고의 '물수능'으로 기록됐다. 수능 사상 최초로 2개 문항에서 오류가 발생해 혼선을 빚은 것도 최악의 기록이다. 물수능이라는 것은 변별력을 잃어 시험 구실을 제대로 못했다는 말이다. 수학 B형 만점자 비율은 4.3%(6천630명)로 사상 처음 1등급 컷(4%)보다 많았으며, 영어 만점자 비율도 3.36%나 돼 물수능 논란을 빚었던 2012학년도(2.67%)보다 더한 물수능이었다. 경제와 사회문화, 두 과목의 만점자 비율도 1등급 구분 비율 4%를 넘어서 버렸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측이 "올해 수능 난이도 실패 논란은 적절하지 않다"고 강변하고 있는 것은 말 그대로 적절하지 않다. 문제 1개만 틀려도 2등급으로 추락하는 것은 '실력'이 아니라 '실수'를 가리는 것이다. 고교 3년간, 아니 12년간 학교에 다니며 기른 실력을 소수점 차이에 의해 희비가 엇갈려 버리게 하는 '물수능'의 본질은 복불복의 '로또 수능'과 다르지 않다.

'물수능'은 대통령이 수능을 쉽게 출제하라는 말을 과용한 탓이다. 수능 문제가 쉬워져야 한다는 것은 맞다. 하지만 변별력이 없는 물수능이 되어서는 결단코 안 된다. 올해의 경우, 최소한의 변별력을 위해 국어가 어렵게 출제되는 기형 현상이 벌어졌다. 수험생 입장에서 보면 한 과목만 열심히 하면 된다는 말은 아닐 것이다. 모든 과목을 열심히 공부한 수험생들의 허탈감을 어찌 할 것인가. 수능도 분명 '비정상의 정상화' 대상이다.

수능 난도는 낮춰야 하지만 무엇보다 변별력과 과목별 균형감을 갖추는 것이 선결돼야 한다. 한 문제에 의해, 난데없이 어렵게 출제된 한 과목에 의해 당락이 판가름나는 것은 많은 수험생을 실의에 빠뜨리는 동시에 교육 정상화 대의에 맞지 않고 공정하지도 않다. 내년 3월 나올 수능 출제체제의 근본적인 개편안을 통해 교육부는 '무능' '실패'의 꼬리표를 떼낼 수 있어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