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일하는 행복, 사회적 경제] ④ 사회적 경제가 뜬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고령화·양극화 돌파구, 사회적 기업·협동조합서 찾는다

지난 7월 25~26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협동조합, 공유기업 160여 곳이 참여한 가운데 '2014 사회적 경제 박람회'가 성황리에 열렸다. 부산일보DB

사회가 고령화되고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사람을 위해,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경제인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고 있다. 2007년 7월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시행되면서 사회적기업 붐이 일었고,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이 만들어지면서 협동조합 시대도 활짝 열렸다.


■부산 고령화·양극화 심화

부산은 올해 7대 광역시 중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부산은 전체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47만 7천여 명으로 14%를 차지했다.

고령사회 가장 먼저 진입한 부산
사회적기업 74곳, 협동조합 303곳
지역사회 기반 네트워크 구축
일자리·부가가치 창출 효과 주목


2002년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7%를 넘어 '고령화사회'에 들어선 지 12년 만에 고령사회에 접어든 것이다. 오는 2021년에는 부산 노인인구 비율은 21%를 넘어서 7대 광역시 가운데 가장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이 노인인구가 급증하는 반면 일자리 감소로 인한 젊은이들 이탈은 심화되고 있다.

실제로 부산시교육청이 지난 2월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41개 학교의 졸업생 진로를 분석한 결과 56.6%인 2천304명만 부산지역 기업에 취업했고, 나머지(1천698명)는 다른 지역에서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비해 부산지역 기업 취업자는 63명, 취업한 기업은 98곳이나 줄어든 수치다.

부산의 산업 역시 뒷걸음치기는 마찬가지.

산업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지역경제 성장패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1기(1990∼1997년)와 2기(1998∼2012년) 모두 연평균 소득과 인구 증가율이 전국 평균을 밑도는 쇠퇴지역으로 분류됐다. 같은 기간 부산의 소득 증가율은 전국 시·도 중 13위에서 14위로, 인구증가율은 7위에서 15위로 내려앉았다.

침체상황은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2007~2012 대한민국 일자리 지도: 지역별 특징과 시사점'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사업체 비중은 서울(21.68%)과 경기도(20.85%)에 집중된 반면 부산은 7.50%에 그쳐 일할 수 있는 기업이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같은 기간 부산의 사업체 연평균 증가율은 0.54%, 종사자 증가율은 1.96%로 전국 평균(각각 2%, 3.10%)에도 미치지 못했다.

산업이 쇠퇴하면서 고임금 일자리 비중도 그리 높지 않다. 고임금 일자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수도권으로 전국의 22.1%를 차지해 평균(19.1%)보다 높았다. 하지만 부산·울산·경남으로 대표되는 동남권은 14.7%으로 평균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2012년 기준 300인 이상 대규모 기업 일자리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58.2%가 몰려있으며, 2007년(56.6%)에 비해 1.6%P 증가했다. 반면 동남권의 대기업 일자리 비중은 16.4%에서 14.6%로 1.8%P나 하락했다.


■뜨는 '사회적 경제'

이처럼 고령화와 양극화 문제가 심화되자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를 통해 일자리와 수익을 창출하고, 사회적인 투자를 통해 사회공헌은 물론 부가가치까지 창출하는 사회적 경제가 각광받고 있다.

기업 고용은 정체되고 복지예산은 대폭 늘어났지만, 이를 체감하는 시민은 그리 많지 않은데다 활동가 감소로 인한 시민사회 위기가 고조되는 것도 사회적 경제 급부상에 한몫하고 있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따르면 2007년 7월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시행되면서 활성화된 전국의 사회적기업은 예비 사회적기업까지 합치면 현재 2천600여 곳에 달한다. 부산의 사회적기업은 지난 8월 현재 74곳이며, 예비 사회적기업은 지난해 말 현재 109곳이 활동 중이다.

8년째를 맞아 조금씩 정착되는 사회적기업도 눈에 띈다. 부산의 환경분야 첫 사회적기업인 '에코라이프 살림'이 대표적이다. 수익은 제자리걸음이기는 하지만, 160여㎡ 규모의 공장을 세우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협동조합은 기본법 시행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전국 협동조합 수는 지난해 말 3천336곳에서 지난 8월 5천461곳으로 증가했다. 이 중 부산 303곳, 울산 113곳, 경남 192곳이다.

최혁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기획관리본부장은 "협동조합은 10년 뒤 살아 남을 확률이 49%나 되지만, 기업은 20%대에 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며 "실제로 협동조합의 경우 이직하지 않고 일하고 싶다는 사람이 90% 이상이며, 조합당 3.5명의 고용효과를 내며서 영세 자영업보다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을 반영이라도 하듯 부산시는 지난 7월 처음으로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협동조합 160여 곳이 참여한 가운데 '2014 사회적경제 박람회'를 성황리에 개최하기도 했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취재했습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