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 쇼크 부산이 아프다] 어떻게 취재했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경대 송하주 교수와 조현철 연구원이 개발한 GIS 기반 프로그램을 시연해 보고 있다.

"옛날엔 슬레이트에 고기도 구워 먹었는데…"

"학교 다닐 땐 교실 전체가 텍스 천장이었는데…"

석면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기억 두 가지. 말 줄임표 뒤에는 "그래도 괜찮더라" "아무 문제 없더라"는 믿음이 버티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모르는 더 은밀하고 위험한 존재가 있다. 한때 부산 전역에 퍼져 있던 석면공장 22곳에서 날아온 '석면가루'다.

부산시는 2012년 5월 관련 조례를 제정, '석면노출 인구'에 대한 무료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석면공장 반경 2㎞ 이내 6개월 이상 거주자'라는 기준만 정했을 뿐, 이들에 대한 '추적 발굴' 조사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례 제정 3년이 지나도록 대상자가 얼마나 되는지 피해 규모조차 가늠이 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보 취재팀은 대상자들을 찾아 나서기로 했다. 개인정보보호법과 주민등록법 상의 한계로 개별 시민들의 거주 이력을 직접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부산 시민 2명 중 1명이 석면가루를 마셨다는 충격적인 결과를 추산해 낼 수 있었다. 슬레이트 지붕, 텍스 천장보다 훨씬 날래고 무서운, 실재하는 위험이다.

부경대 송하주 교수와 조현철 연구원이 개발한 GIS 기반 프로그램을 시연해 보고 있다.
취재팀은 또 부산시민 누구나 자신이 석면노출 인구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GIS(지리정보시스템)를 활용한 자가 검증 프로그램을 개발, 기사 도입부에 배치했다. 이 분야 전문가인 부경대 IT융합응용공학과 송하주 교수팀(조현철 연구원)의 도움을 받았다.

'석면쇼크' 홈페이지(shock.busan.com)는 이들과 두 달간 협업을 거쳐 탄생했다.

홈페이지 첫 화면(Intro)에 등장하는 부산지도에 주소를 입력하면 자신이 살았던 지역이 석면공장이 있던 시절 공장의 반경 2㎞ 안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석면공장은 사라지고 없지만, 아직도 생활공간 곳곳에 천장재, 지붕재, 벽재, 바닥재 등 석면이 함유된 자재들이 광범위하게 남아 있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석면지뢰'. 홈페이지 상단 메뉴나 기사 말미에서 '2014 부산 석면지도'를 클릭하면 유치원, 학교, 관공서, 도시철도역 등의 석면함유 자재 조사 결과도 확인할 수 있다.

<석면공장 인근 주민 무료검진 문의>

양산부산대병원 석면환경보건센터 055-360-3770~2

부산광역시 환경보전과 석면담당 051-888-4951

부산일보 인터랙티브 뉴스 석면 쇼크 부산이 아프다 기사보기 => http://shoc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