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산요금소·가락요금소 이전 운영 첫날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진입로 길어지고 좁아 고속도로까지 정체

이전한 남해고속도로 가락요금소에 진입하기 위한 차량들로 1일 오후 요금소 진입로 바깥 주도로까지 정체를 빚고 있다. 강선배 기자 ksun@

위치를 옮겨 운영을 시작한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 서부산요금소와 가락요금소를 두고 상반된 평가가 나오고 있다. 서부산요금소는 외곽으로 옮겨지면서 도심 정체를 일정 부분 해소했다는 분석이지만 가락요금소 부근의 정체는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일 0시부터 부산 강서구 대저동에 있던 서부산요금소가 부산 시외 방향으로 7.2㎞ 이동해 경남 김해시 수가동에서 영업을 시작했다. 가락요금소도 부산 강서구 봉림동 기존 위치에서 김해 방향으로 200m 정도 이동했다.

퇴근 시간 가다서다 '3시간'
일부 운전자 길 잘못 찾기도
서부산요금소는 부분 해소
"가락요금소 폐지 꼭 필요"

이전까지 가락요금소는 김해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과 부산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진입로를 다르게 운영하는 복잡한 형태였다. 옛 가락요금소는 진입과 진출 각 6개씩 총 12개의 차로를 뒀다.

신설 가락요금소는 방향별로 복잡하게 운영되던 요금소를 일반적인 요금소 형태로 바꿔 운영 중이다. 진입 시 부산 방향 3차로, 김해 방향 2차로 총 5개 차로를 이용할 수 있고 진출 시 부산에서 오는 차량은 3개 차로, 김해에서 오는 차량은 1개 차로를 이용할 수 있다.

가락요금소 부근에서 만난 도로공사 관계자는 "각 방향으로 운영돼 혼잡하던 요금소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면 9개 차로면 충분하다고 판단돼 차로를 줄였다"고 말했다.

요금소가 합쳐진 대신 가락요금소로 진입하는 도로는 500m 정도로 길어졌다. 진입로는 차가 1대밖에 다닐 수 없는 데다 부산 신항을 오가는 대형 차량이 많아 출퇴근 시간이 아닌 경우에도 진입로 주변은 정체가 이어졌다. 진입로 바깥 주도로까지 차들이 밀려 주행에 지장을 주기 일쑤였다.

일부 시민은 이전 사실을 몰라 폐쇄된 종전 가락요금소로 진입하려 하기도 했다. 도로공사 관계자들은 옛 진입로에 대기하며 주행하는 차들을 돌려세웠다.

부산시 관계자는 "옛 요금소를 계속 운영하면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시간뿐 아니라 요금소 통과를 위해 최소 300m 전부터 미리 감속해야 해 도로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퇴근 시간 차량이 몰리자 가락요금소 부근의 정체는 더욱 심해졌다. 요금소의 위치가 생소해 미리 차로를 바꾸지 못한 차량이 상황을 악화시켰다. 오후 5시께부터 정체는 극에 달했고 답답하던 도로 상황은 오후 8시 30분께가 지나서야 겨우 풀렸다.

이에 대해 도로공사 관계자는 "이전에 비해 교통 흐름은 좋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시간이 지나 운전자들이 새로운 체제에 적응을 하면 정체는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가락요금소는 180억 원의 통행료 수입이 있었다. 평균 요금을 1천200원으로 잡는다면 하루 4만 1천여 대가 이곳을 지난다. 부산 신항이 커지고 국제물류센터가 본격적으로 운영되면 이곳을 통과하는 차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부산시민협의회 김영주 회장은 "늘어나는 교통량을 감안한다면 가락요금소 구조를 변경한 것만으로 상습적인 정체를 해소하기 어렵다"며 "위치 변경이 아닌 가락요금소 자체를 없애는 것이 부산 신항과 국제물류센터가 성공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반면 서부산요금소는 외곽으로 이전하면서 정체 구간이 시작되기 전 김해공항으로 빠질 차량은 미리 빠질 수 있게 되었다는 평가다. 기존 요금소는 동서고가도로, 김해공항, 부산 신항을 이용하는 차량이 집중돼 상습 정체구간으로 악명 높았다.

1일 오후 8시 30분께 옛 서부산요금소에서 가락요금소 구간의 정체는 대부분 풀렸지만 가락요금소에서 새 서부산요금소까지 구간이 마지막까지 정체됐다. 그만큼 부산 외곽으로 정체 구간을 밀어내 도심 정체와 겹치는 것을 방지한 셈이다.

하지만 고속도로 통행권을 뽑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직원이 일일이 뽑아주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가락요금소 폐지는 강서구 주민들의 염원이고 부산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며 "국토교통부와 도로공사를 설득하는 다양한 방안을 연구 중이다"고 말했다.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